경영악화로 대형 창투사들은 사모펀드(PEF) 조성을 통해 활로모색에 나서고 있지만 이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중소형 창투사들의 상황은 이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대형사들에 비해 자금조성능력이 떨어지는데다가 이미 본계정 잔고도 바닥을 들어내고 있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업친데 덮친 격’으로 1조700 0억원 규모의 투자조합의 해산시점이 올해와 내년에 집중되면서 대규모 디폴트(Default)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 10억 모으기 어렵네
만기도래 투자조합의 대규모 부실이 예상되는 가운데 민간 투자자금이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 창투사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민간투자자금 조성이 어렵다보니 중소형 창투사들의 경우 부실을 만회할 신규조합 결성은 꿈꾸지도 못하고 있다.
올 상반기에 결성된 창투조합은 총 11개(693억원)로 이중 대부분이 정부자금에 의존해 결성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정부출자조합의 업무집행원 선정을 놓고 창투사들의 경쟁이 날로 심해지고 있다.
문제는 치열한 경쟁속에서 업무집행원으로 선정돼 조합 결성액의 80%를 정부에서 출자받더라도 나머지 20%를 조달하지 못해 결성을 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점이다.
창투업계 관계자는 “투자조합 결성액이 최소 1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정부 출연금 80억원, 사전 민간투자금 10억원 등 90억원을 조성하더라도 나머지 10억원을 조달하지 못해 포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요즘엔 10억원을 조달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는 말이 돌 정도로 민간자금 유치에 중소형 창투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 정부출자도 갈수록 감소
최근 중기청 조사자료에 따르면 향후 5년간 정부출자조합의 미회수 부실자산 규모는 총 123 6억원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체 회수금액 5004억원의 20%에 달하는 규모이다. 〈표 참조〉
정부출자금의 경우 창투사의 규모와 실적 위주로 지원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출자조합의 부실증가는 출자규모 감소의 주원닫기

이에 중기청은 23일 200억원 규모의 부실자산인수펀드 결성을 통해 창투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창투업계에서는 정상적인 경영안정을 위해선 신규조합을 결성해 우량 벤처를 중심으로 한 투자가 활발해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이 불거짐에 따라 벤처캐피탈협회는 중기청 등 정부를 상대로 창투사의 부실이 벤처침체에 기인한 만큼 벤처지원정책상 출자금 규모도 다시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A 창투사 대표는 “부실자산인수 펀드가 아무리 잘 운영되더라도 창투사들의 대규모 등록취소는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며 “우량한 신규투자조합의 결성을 지원하지 않는한 이러한 상황은 되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PEF는 유일한 활로인가
중소형 창투사들이 생존의 기로에 서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경영에 여유가 있는 대형사들은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활로로 사모펀드(PEF)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대형 창투사들은 이번 임시국회에서의 ‘간접투자자산운용업법’ 통과여부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많은 창투사들이 사모펀드 결성을 유일한 활로로 보고 있지만 과연 얼마나 사모펀드를 결성할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몇몇 창투사들은 은행, 증권 등 대형 금융사에서 결성한 사모펀드에 운영자로 참가하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정부출자조합의 미회수 부실자산 추정규모>
(단위 : 억원)
(자료 : 중기청)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