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탈업계가 국내 벤처·중소기업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한지도 벌써 20여년.
지난 86년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제정 이후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화 정책에 맞춰 벤처캐피탈사의 수와 투자규모도 크게 늘어났다.
IMF외환위기 이후 재경부의 코스닥시장 활성화 정책에 따라 벤처캐피탈산업은 단기간에 급성장했다.
인터넷 주식공모와 코스닥 벤처열풍 등 국내시장에서 벤처시장에 대한 관심은 증폭됐고, 이러한 국내시장상황은 벤처캐피탈사들의 급속한 외형성장을 불러왔다.
그러나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벤처산업에 대한 거품이 걷히면서 벤처캐피탈사들은 침체기를 맞게됐다.
벤처캐피탈업계는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지난 2002년부터 보수적인 투자심사와 다양한 수익원을 개발한 결과, 지난해 몇몇사들이 순익전환을 하는 등 경영정상화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벤처캐피탈협회를 중심으로 제도개선 및 자구노력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촉진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05년부터는 기존의 부실을 모두 털어내고 안정적인 성장을 통해 국내벤처시장 육성에 큰 역할을 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현행제도- VC시장선진화 무리
지난 23일 이헌재 부총리는 “벤처캐피탈을 통해 벤처기업이 제대로 평가를 받도록 하겠다”며 “벤처시장의 활성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탈업계는 정부의 정책 및 제도가 조만간 시장에 맞게 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행 관련업법만으로는 벤처캐피탈업계 지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국내 벤처캐피탈시장의 경우 창업투자, M&A, Bridge Finance 등 다양한 사업분야 진출과 P.E시장의 경쟁심화속에서 전문화된 투자회사의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벤처캐피탈업계는 시장의 선진화를 위해선 조합위주의 정책자금지원과 관리, 조세지원, IPO효율화 극대화를 위한 정부의 관련법 개정 및 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P.E시장의 경우 현재 벤처캐피탈사, 증권사, 투신사, 일반 대기업 등의 진출로 경쟁이 치열한 만큼 투자회사의 활동을 규정해 벤처캐피탈사들의 입지를 마련해줄수 있는 관련법 제정이 필수적이다.
특히 창업지원관련법의 경우 투자의무비율과 투자조합 GP변경요건에 대한 완화도 시급한 문제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 및 대외 신뢰도 등의 문제로 적정한 투자의무비율제도는 필요하나 벤처산업의 침체로 인해 투자주식을 감액하는 경우에는 예외 인정도 필요하다”며 “이를위해 투자의무비율 산정기준을 투자원가로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다각화바람이 불고 있다
벤처캐피탈업계가 창업투자 외에도 M&A·세컨더리·CRC 등 새로운 분야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등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정부의 벤처기업 M&A 활성화 방안과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 관련법 개정으로 인해 M&A에 대한 벤처캐피탈사들의 진출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그 선두에는 KTB네트워크, 한국기술투자, 동원창업투자, 한국IT벤처투자, 넥서스벤처투자 등이 있다.
이러한 벤처캐피탈시장의 변화에 따라 벤처캐피탈협회를 중심으로 자체적인 인프라구축이 한창이다.
협회는 올해부터 회원사들의 M&A 진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한다.
그 일환으로 V.C Interactive를 활용해 투자업체들의 정보를 종합하고 투자업체간 M&A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제도개선 및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업계와 외부전무가로 T/F팀을 구성하고, 전문 M&A중개기관을 지정해 성사 가능성을 높힐 계획이다.
협회는 M&A활성화 외에도 세컨더리 시장을 통해 벤처캐피탈업계의 현금 유동성 문제를 해소할 방침이다.
코스닥시장의 장기화된 침체가 신규등록의 감소추세로 벤처캐피탈사들의 투자금 회수가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2004~2005년에 결처 투자조합의 해산이 집중화되면서 현금유동성 부족문제가 벤처캐피탈사들의 경영악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표1, 2 참조〉
이에 코스닥 등록제한 완화와 더불어 세컨더리펀드 결성의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제도의 개선을 건의할 계획이다.
세컨더리펀드의 경우 투자전략의 다각화는 물론 IPO이외 회수수단을 마련할 수 있어 벤처캐피탈사들의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조합결성을 늘려라
벤처캐피탈업계에서는 올해 정부의 조합출자예산이 급격하게 감소함에 따라 출자대상 확대 및 출자방법이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부의 올해 출자예산은 총 1325억원으로 지난해(2120억원)에 비해 약 40% 감소한 수준이다. 〈표3 참조〉
이에 따라 투자조합의 안정적인 경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출자자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이에 벤처캐피탈업계는 사학연금 및 보험사, 저축은행 등 다양한 기관투자자의 조합출자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결성된 경기도와 광동성 중소기업협력펀드와 같은 지방자치단체별 특수목적펀드의 결성을 유도하고 있다.
출자자 확보 외에도 정부의 출자비율 확대와 부처간 공동출자를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조합운영측면에서도 현행 특정분야 투자의무비율 완화와 심사단계의 자율성 보장 등 조합운영의 자율성의 확대를 건의하고 있다.
■ 자구노력 잇달아
제도개선과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외에도 벤처캐피탈업계는 신뢰성 제고 등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동안 벤처캐피탈업계 내부에서는 자체적으로 시장의 신뢰성 회복을 위해 각사별로 이미지제고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려왔다.
특히 지난 10일 벤처캐피탈협회 정기총회에서는 ‘벤처캐피탈 산업 가이드라인(Professional Standard Guideline)’을 마련해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보급·확산키로 결정했다.
협회는 △윤리(Moral) △보고(Repor ting)·평가(Valuation) 등 두 가지 형태로 미국과 유럽등 선진국 가이드라인을 벤치마킹해 도입할 예정이다.
윤리 가이드라인에는 심사역이 지켜야 할 윤리강령을 포함해 회원사의 투자활동에 관한 규정 등을 담을 계획이다. 또 보고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는 벤처캐피털업체들이 투자한 벤처업체를 공정하게 평가하고 아울러 그 결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곽성신 벤처캐피탈협회 회장은 “일부 벤처업체들이 벤처산업 전체를 흐려 놓았듯이 일부 심사역으로 인해 벤처캐피털산업의 이미지가 많이 훼손됐다”며 “가이드라인을 통해 이를 어느정도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전문성을 확보하라
벤처캐피탈협회는 인재양성과 전문성확보를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벤전문성 확보를 위해 벤처캐피탈업계 임직원들과 일반인들을 나눠 차별화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협회는 벤처캐피탈업계 임직원들에게 오는 4월 Beijing COMDEX China (중국 북경)와 7월 EXPO COMM & WIRELESS Japan(일본 동경)등 해외 전자박람회 참관을 지원한다.
또한 지난 2월 2004년 개정세법 세미나 및 창업진흥기금 출자 설명회에 이어 M&A시장 관련 세미나, 최고 경영자 세미나 등 다채로운 연수프로그램을 마련, 시행한다.
특히 오는 5월 시행하는 최고경영자 세미나에서는 업계 현안문제 검토 및 개선방향 모색, 최고경영자 경영사례발표·분석 등 업계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의 장을 마련한다.
이외에도 오는 7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벤처캐피탈리스트과정을 열고 벤처캐피탈의 장기적인 인적 인프라 구축과 벤처캐피탈산업에 대한 이미지제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계획이다.
▲ 벤처캐피탈 업계가 조합결성 설명회 등 출자자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표1> 투자조합 결성 현황>
(단위 : 개, 억원)
<표2> 2004년 조합출자예산 감소 예상
(단위 : 억원)
※ 방송위 : 100억원, 영진위 : 70억 집행(2003년)
<표3> 창투사 융자금 현황
(단위 : 억원)
안영훈 기자 anpres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