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총리는 18일 재경부에서 `조흥은행 파업 관련한 정부의 입장`을 발표하면서 노조가 요구하는 분산 매각은 공적 자금 회수가 1조원 이상 차질 빚어 그만큼 국민의 부담이 늘어나고 은행 민영화도 상당 기간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따라서 노조의 분산 매각을 수용할 수 없으며 더욱이 조흥은행 매각 여부는 노조와의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 부총리는 파업으로 인해 어떠한 일이 발생해도 금융시스템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으며 현재 금융감독원이 종합상황실을 24시간 가동해 파업 상황과 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전산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전산 필수요원을 이미 확보했으며 지역별 거점 점포 운용 방안 등 상황에 따른 비상 대책도 마련해 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는 고객들이 앞으로도 예금 입출금 등 금융 거래를 이용하는 데 피해가 없도록 인터넷뱅킹 등이 정상 가동되도록 하고 필요하면 은행간 예금 대지급 시스템을 가동하는 등 고객 보호에 만전을 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불법 파업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해 주동자를 형사 조치를 하는 한편 은행 경영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민사상의 조치도 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어 전산실 점거 등에 대해서는 경찰청 등과의 협조 아래 공권력을 투입하는 등 불법 행위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고용 등 근로 조건에 관심을 갖고 협상에 반영되도록 노력하겠으며 노조와의 대화 채널은 열어 놓고 있다고 밝히고 즉시 현업에 복귀해 은행이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현명한 판단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강종철 기자 kjc01@epay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