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대금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국대부사업자연합회와 한국소비자금융연합회가 통합 문제를 놓고 의견조율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회원사 및 비회원사 업체들을 중심으로 통합과정에 대한 불만과 함께 이들 업체의 대표 단체로서의 자격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통합 반대론자들은 통합추진 과정이 다수 영세 회원사들의 의견은 배제된 체 연합회와 일부 우량 회원사끼리의 담합으로만 이뤄진다는데에 강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서로 똑같이 일정한 회비를 수납하고 정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데도 연합회의 몇몇 인사들에 의해서만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며 “이런 과정속에 과연 대부업 전체의 이익과 의견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대부단체들의 자격 여부도 논란을 낳고 있다. 과연 이들 단체가 공정하고 투명하게 업계를 대표할만한 도덕성을 지니고 있느냐는 것.
한대련은 올해초 신용정보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자본잠식상태에 있는 서울신용평가 인수의사를 밝히고 계약까지 체결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한대련은 외국계 자금유입설에 대해 시인과 부정을 번복하는 등 주가를 높이기 위한 작전이 아니냐는 의혹에 시달려 왔다. 실제로 서신평은 인수설을 계기로 연이어 상한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금련도 엽찬영 명예회장이 지난 해 5월 ‘조세범처벌법위반’ 혐의로 2차 항소심에서 실형을 선고 받은 바 있어 도덕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한편 일부 업계에서는 대부업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기존 대부단체와는 차별화되고 특색을 갖춘 새로운 단체들이 더 생겨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대부업등록을 한 업체가 1만여개에 달하는 시점에서 이를 두 단체의 영역으로만 편입시키는 것은 무리”라며 “서로의 특색과 차별화 된 업무를 추진하고 배양할 수 있는 연합회가 적어도 3~4개는 더 생겨나야 전국에 산재한 대부업자들이 자신의 고유상품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치원 기자 cw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