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저축은행의 발전방안을 두고 서로 다른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21일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상호저축은행 발전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 김대식 중앙대 대학원장과 조성도 프라임 상호저축은행 사장은 장기 발전 방향과 관련해 상반된 의견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1부에서 ‘상호저축은행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은 김 교수는 “상호저축은행이 건전경영을 통해 중소기업과 서민에 대한 금융 편의 제공에 충실하고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하는 금융기관으로 위상이 제고될 경우에는 지방은행이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방 은행 수준의 지역금융기관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상호저축은행에 대한 영업규제도 영업실적에 비례해 단계적으로 완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은행처럼 모든 상업금융업무를 취급할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주제 발표가 끝나고 이어진 토론에서 조 사장은 사뭇 다른 의견을 내놨다.
조 사장은 “대형화 문제는 지방에 있는 저축은행들 대부분이 여신 운용처가 없어 적자가 누적돼가고 있는 상황에서 획기적인 변화나 정책적인 배려가 있기전에는 요원한 일”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 전체 자산규모가 25조원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국 저축은행 전체를 합쳐도 지방 은행보다 조금 큰 또 다른 지방은행 1개가 탄생할 뿐이라는 것.
이에 대해 조사장은 “장기적으로 저축은행 특성을 고려한 정부의 지원과 정책만 뒷받침 된다면 굳이 대형화나 금융지주회사화 되지 않더라도 내실있고 알찬경영을 영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두 패널이 각기 또 다른 시각차를 드러낸 부분은 예금보험료 인하문제.
김 교수는 저축은행들이 현재의 예금보험료율이 경영수지에 상당한 압박요인이 되고 있다는 업계의 주장에 대해 다른 금융기관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할 때 현실성이 없다고 말했다.
반면 조 사장은 “일반예금보험료 0.3%외에 2003년부터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여금 0.1%인 총 0.4%의 보험료 지급은 저축은행당 평균 보험료가 약 7억원 수준에 이르는 실정”이라며 “이는 저축은행당 평균 당기순이익이 11억원임을 감안할 때 저축은행 경영에 상당한 압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치원 기자 cw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