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노조는 정부가 일방적이고 편파적으로 특정 기관에 은행을 강제 인수시키려 한다며 집단행동에 돌입한 상황이다.
그러나 허위원장은 이와 관련 고객의 불편을 초래하거나 은행의 영업력을 저하시키는 무분별한 집단행동은 최대한 지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위원장은 “노조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조합원의 고용보장을 전제로 한 것이며 고객을 담보로 한 대정부 투쟁은 누구에게도 득 될게 없다”며 “더욱이 그동안 조흥은행의 매각 작업은 경영상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완전한 독자생존을 위한 작업이라는 점에서 불필요한 내부 갈등 내지 불안을 조장할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허위원장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조흥은행의 민영화 방향과 원칙이 투명하게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구속력없는 투자의향서만을 제출한 기관들에게 실사 기회를 줄 수는 없다”며 “조흥은행의 민영화 방향이 투명하게 공개될 때까지 실력으로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정부의 후속 조치에 따라 금융노조 차원에서 대규모 총파업에 돌입할 수 있는데 지난 2000년 7.11 총파업을 능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시중은행은 물론 국책은행, 지방은행이 노조들도 총파업 내지 동조 파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데, 조흥은행이 지분 매각이라는 방식을 통해 신한은행과 합병을 하게 된다면 다른 은행에도 합병의 파장이 직접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