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한화그룹의 대생 인수가 최종 결정 되면서 업계에서는 과연 대생의 새로운 CEO는 누가 될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대한생명이 한화를 새로운 주인으로 맞아들이면서 조직쇄신 차원에서 CEO등 경영진을 대폭 물갈이 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기 때문.
한화는 대생 매각주간사인 메릴린치와 2주 정도에 걸친 실사작업을 거친 뒤 10월 중순에는 새 CEO 선정 등 신임 경영진을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화는 그 동안 상당한 물밑작업을 통해 내부적으로 신임 경영진에 대한 밑그림을 끝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대생의 새 CEO로 물망에 오르는 인물로는 우선 보험감독원장과 국민은행장을 지낸 박종석 그룹부회장과 재정경제부 정책과장을 역임했던 진영욱 한화증권 사장 등 한화그룹의 핵심인물들이 유력시 되고 있다.
그러나 한화가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고 시민단체 등 외부단체의 만만치 않은 여론의 비난을 감당하며 그 반발을 어떻게 잠재울지가 가장 큰 관건이다.
또한 대생의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이루고 대규모 구조조정을 성공리에 이끌기 위해 외국계 CEO의 영입도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이외에도 한화는 김현호 삼성생명 부사장, 고영선 신한생명 부회장, 박종원 코리안 리 사장, 박해춘 서울보증보험 사장 등과 접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고영선 신한생명 부회장은 이미 사장을 제의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는 종합 금융그룹으로 탈바꿈하기 위해서 대생의 경영진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지금까지 매각으로 인해 다소 느슨했던 조직의 끈을 단단히 함으로써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리고 교보와 생보업계 2위자리 다툼을 치열하게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판도를 바꿀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에 그만큼 새 CEO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새로운 대생 CEO와 경영진이 구성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까지는 각 부서 팀장 급까지 대폭 교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대규모 구조조정과 관련해 대생 노조와의 마찰을 어떻게 풀어나갈지도 새로운 CEO선정과 경영진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문승관 기자 sk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