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관기관 및 10여개 증권사로 구성된 IT협의회가 최근 종목코드개편추진을 위한 실무반을 구성하고 변경된 단축코드 시행시기를 내년 9월로 잠정 결정하자 일부 증권사들이 비용 및 시간등을 이유로 시행시기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전문 개발업체에 시스템 운영을 아웃소싱하고 있는 증권사들의 경우 시스템 변경 일정 및 비용 부담으로 인해 시행시기 재조정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어 종목코드확대개편 문제에 따른 추진委와 이들 증권사간의 갈등이 예상된다.
현재 단축코드를 이용하고 있는 곳은 거래소, 코스닥, ECN, 증권전산 등을 비롯해 계좌이관증권회사 및 C형 증권사들로 향후 3년 이내에 단축코드가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IT협의회는 지난 3월 이 같은 상황에 대비키 위해 종목코드확장개편을 논의, 현재 5자리로 기록하는 종목코드를 6자리로 늘리는데 의견을 모으고 내년 9월 이를 시행키로 잠정 합의했다. 증권IT협의회측은 “종목코드 자리수 확대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단축코드의 자리수가 확대되면 증권업계에 미치는 리스크 및 업무 로드가 클 것으로 판단돼 일찌감치 시행시기를 잠정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 전문개발 업체에 일부 시스템을 아웃소싱하고 있는 증권사들은 이같은 위원회측의 결정에 대해 업계의 처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는 주장이다.
우선 한 개발업체가 여러 증권사의 시스템을 아웃소싱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인력이 한정돼 있는 개발업체가 여러 증권사의 시스템 개편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 하 다는 지적이다.
또 시스템 개편이 가능할 지라도 용역을 담당하고 있는 개발 업체가 한정돼 있는 만큼 이들 개발업체 에 지불해야 할 비용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 이들 증권사의 입장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종목코드 자리수를 확장해야 된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다”며,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만으로도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단축코드확장이 굳이 내년에 시행되어야 할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