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승현 이용호 윤태식리스트는 옛 얘기가 돼 버렸다.
이제 어느 벤처기업이 다음 타깃이니 하는 소문이 횡횡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3탄, 4탄 벤처게이트 의혹은 곧바로 정치권의 공방과 함께 일반인의 흥미거리로 전락하고 있다.
결국 현정권의 레임덕 가속화와 함께 벤처공방은 다가오는 지방선거, 대선시즌에 맞물려 주요 선거 이슈로 등장할 전망이어서 올 한해 벤처캐피털과 벤처기업들의 ‘복지부동’을 부추기고 있다.
며칠 전 김대중 대통령이 연두 기자회견에서 ‘벤처비리 척결’의지를 밝혔다. 또한 일부 사정기관에 벤처관련 비리에 대한 상당한 조사자료가 비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얼마 전 일부 CRC들이 검찰 내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어느 CRC는 면허를 자진반납했다.
국세청도 일부 벤처기업과 해외투자 창투사에 대한 조사에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某그룹 계열 창투사는 4주간 세무조사를 받고 수억원의 세금을 추징 당했다.
여기에 某 제약회사와 관련된 한 창투사의 CB발행 의혹이 심심찮게 제기되고 있으며 일부 언론사가 주주로 있는 외국계 T사의 경우도 주목 받고 있다.
또한 금감원이 S사 L사장의 BW사기발행 혐의에 대해 검찰 고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이미 터진 기술신보 브로커 사건과 산업은행 벤처투자 심사역과 벤처업체간의 비리사건이 벤처투자와 관련한 주요 은행, 벤처캐피털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벤처비리 사건에 연루된 산업은행과 벤처투자팀을 운영하는 은행들은 비리척결 차원에서 관련 부서에 대한 대대적인 인사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또 주요 벤처캐피털과 CRC도 심사역들에 대한 내부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업계 분위기는 결국 벤처투자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