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부터 일반손해보험료의 순보험료가 완전자유화에 됨에 따라 보험료가 소폭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보험료 인하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와 눈길을 끈다.
해상, 화재, 항공 등 일반보험의 경우 대형 재보험사와의 협의 요율을 사용하고 있는 데 순보험료에서 이 협의 요율이 차지하는 비중이 50%가 넘어 손해보험사의 순보험료 조정을 통한 보험료 인하폭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보험가입 가입 건수가 적어 각사들이 자체 통계치를 산정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내년 4월부터 일반보험의 순보험료 요율이 자유화됨에 따라 보험료 인하가 점쳐지고 있지만 실제론 가격 변동폭이 크지 않을 전망이다.
일반보험의 경우 보험사들이 리스크 분산을 위해 재보험에 가입하기 때문에 통상 재보험자 협의 요율을 산정한다. 순보험료 전체 요율 중 이 재보험자 협의 요율이 50%이상의 비중을 차지해 실제로 손보사들이 자사 실적손해율에 기초해 보험료를 산정할 수 있는 요율은 절반 이하라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일반보험의 경우 종류만 200건이 넘는 데다 보험 가입 건수가 적어 보험료 산정을 위한 데이터 수집이 어려워 통계가 불가능하다.
비교적 가입 건수가 많은 해상, 화재, 등은 손보사 자체적으로 데이터의 통계화가 가능하지만 판매 건수가 10건 미만인 일반보험의 경우 보험료가 자유화 돼도 과거 처럼 손보사들이 자료를 공유 통계치를 산출하거나 보험개발원의 산출 요율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
반면 지난 8월 순보험료 자유화가 시행된 자동차보험의 경우는 재보험 가입 절차가 없는 데다 가입 건수가 많아 손보사들이 자체적으로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 수치를 계산하기가 쉽다는 지적이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내년 4월 일반보험료 인하에 대비 데이터 수집과 요율 산출 기법 검토 등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보험의 종류가 많은 데다 리스크 관리를 위한 통계치 산출이 어려운 상품이 많아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송정훈 기자 jh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