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의 대형화 프로젝트가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제일 한미은행등과의 합병설로 금융권의 최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는 하나은행이 은행간 합병과 더불어 하나증권의 대형화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하나은행은 국내외 중대형증권사로부터 증권에 대한 외자유치 및 출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공동경영까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를 위해 외국계 기관 및 국내 주요 증권사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하나증권의 대형화 작업으로 인해 은행계 증권사에 대한 업계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미 신한증권이 지주사 설립이후 대형화 작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한빛증권도 우리금융그룹의 구조개편이후 연계업무에 대한 물밑작업을 진행하는등 업계 구조개편의 선두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증권업계 및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이 종합금융그룹을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하나증권의 대형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하나증권 고위 관계자는 “외자유치 및 출자를 통한 대형화 작업은 이미 올해 초부터 진행된 사항”이라며 “하지만 구체적인 출자기관이 정해진 것은 아니며 아직은 검토단계에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은행간 합병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어떤 것도 장담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라며 “증권에 대한 출자 또는 합병시기도 은행간 합병이 마무리되는 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현재 출자기관으로 물망에 오르고 있는 증권사는 우선 하나은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A, J등 외국계 기관 및 증권사이다. 하지만 하나은행의 합병에 따라 국내 중대형증권사와의 합병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는 “하나은행의 종합금융그룹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하나증권의 대형화 작업은 필수”라며 “하지만 현재 은행간 합병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고 하나증권에 대한 출자 메리트가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가능할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하나증권의 대형화 추진은 증권업계 구조개편 작업에 큰 반향을 일으킬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 삼성 대우증권등 대형증권사 위주로 투자은행 전환등 구조개편 작업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이에 대한 정부시책 지연과 시장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한 한빛 하나증권등 은행계 증권사들이 종합금융그룹을 배경으로 투자은행 및 대형화등 증권업계 구조개편 작업을 진두지휘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