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소재펀드에는 은행권 보험기관 벤처캐피털사들이 대거 참여할 예정이며, 산업자원부는 펀드결성 촉진을 위해 소득공제 등 세제혜택을 부여하기로 했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6일 국무회의에서 산업기반기금 중 일부를 ‘부품·소재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금운영계획이 통과됐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내년부터 우선적으로 ‘산업기반기금’과 ‘중소기업창업및진흥기금’에서 2002년중 200~300억원을 출자해 내년 1월부터 평균 100~150억원 규모의 투자조합을 순차적으로 결성할 계획이다.
내년 중 7~10개 정도의 부품소재펀드가 결성될 전망이다.
또한 이번 부품·소재전문투자조합은 기존의 ‘창업투자조합’과 달리 산업은행·기업은행·보험회사 등 자금여력이 큰 금융기관들도 결성에 참여할 수 있어 대규모 자본이 부품·소재산업에 유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산자부는 내년부터 부품·소재전문투자조합에 대해서도 기존 창업투자조합과 동일한 세제지원책을 부여해 조합에서 취득한 주식 지분의 양도차익을 비과세하고, 거주자의 부품·소재전문투자조합 출자에 대한 소득공제 등의 세제혜택을 적용키로 했다.
이러한 부품소재 육성방안에 따라 국내 부품소재기업들은 기술개발에서 글로벌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자금을 적기에 공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산자부 김성원 사무관은 “이번 부품소재투자조합 결성추진은 시제품 생산이나 양산라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유동성을 확보해야만 하는 부품·소재 중소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투자활동 내역을 고려할 때 약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부품·소재산업에 유입돼 해당 기업들의 자금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창호 기자 ch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