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물거래소와 증권사들의 관계가 또 다시 급속도로 냉각되고 있다. 지난 3월 코스닥선물 상장과 청산 방법을 두고 대립했던 양측이 이번에는 한국선물거래소의 코스닥50옵션 상장을 두고 앙금이 깊어지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18일 한국선물거래소가 오는 12월 14일 코스닥옵션을 상장한다고 밝히면서 시작됐다.
코스닥선물 시장 부진과 전산화 작업 부담 등의 이유로 그동안 직간접적으로 코스닥옵션 상장을 연기해줄 것을 요구했던 증권사들은 한국선물거래소가 특별한 논의도 없이 코스닥옵션 상장일과 운영방법을 결정, 일방적으로 통보해왔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본지 9월 13일 기사참조)
더욱이 증권 및 선물사로 구성된 코스닥50상품운영위원회의 위원들과 선물사들 조차도 이번 상장일에 대해 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코스닥시장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 지난 8월 설립된 코스닥50상품운영위원회가 선물거래소의 독단적인 행동으로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코스닥옵션 상장과 관련 증권사들은 선물 상장때와 같이 공동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한국선물거래소가 상장 준비를 끝내고 연내상장 계획을 귀뜸한 상태이기 때문에 증권사들의 개별 사정만으로는 공동대응에 대한 명분이 서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내년 초 상장되는 개별 종목 옵션과 관련해 지수옵션의 조기 상장론도 거론되고 있어 섣불리 나설 수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코스닥선물 상장때와 같이 증권사의 시장참여는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사 선물옵션 담당자들은 오히려 당시보다 더욱 시장참여가 지연될 수도 있다며 공공연히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증권사 관계자는 “올 하반기 계획된 전산작업만해도 현재 인원과 자금으로는 부족한 상태며 일정도 빡빡하다”며 “서둘러 작업을 한다면 12월 상장에 맞출 수도 있지만 향후 사고위험과 운영부담 등으로 인해 이미 내부적으로는 참여하지 않을 것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증권사들의 전산작업 부담은 심각한 수준이다. 오는 12월까지만 해도 주식호가범위확대 및 시세전송방식 변경, ECN, 백업, 개별 종목 옵션 상장 등 준비해야할 크고 작은 작업들이 10여건에 이른다. 이에 따라 전산인원이 부족한 중소형증권사들은 기존 시스템의 안정화 및 업그레이드 작업조차 계획대로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전산작업 부담 고민은 증권사뿐만 아니라 선물사들도 마찬가지다. 선물사들의 경우 증권사들보다 전산규모와 인력이 적기 때문에 개발 및 운영부담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편 이번 상장일에 대해 한국선물거래소 관계자는 “상장일은 발표일 결정된 것으로 증권사들에게도 통보했다”며 “증권사들의 요구를 충분히 수렴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