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부의 ‘지자체 IDS 구축 보류’ 권고와 관련 행자부와 보안업체간의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지난 3월 행자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정보화 계획 업무 종합조정’이라는 공문을 보내 ‘침입탐지시스템 구축 업무에 관한 추진을 보류하라’고 권고하면서 시작된 이번 사건은 보안업계의 시정 요구에도 행자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행자부의 이번 조치가 지자체를 포함한 전체 공공시장의 IDS 도입 활성화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IDS의 K4인증과 관련 올 해 본격적인 시장형성을 기대하고 있는 보안업체들의 경우 이미 공공부문 영업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는 내주 정통부와 국정원의 보안 관계자들과 만나 행자부의 ‘지자체 IDS 구축 보류’ 권고를 철회해줄 것을 요청할 방침이다.
협회 관계자는 “현재로선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직접 행자부에 철회 요청을 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내주 정통부와 국정원의 보안 담당자들을 만나 의사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미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와 보안업체들은 간접적으로 행자부가 이번 조치를 철회해줄 것을 수차례 요청했다. 반면 행자부는 보안업계의 이 같은 요구에도 아직까지 별다른 언급이 없는 상태이다. 단지 행자부는 이번 조치가 ‘정보통신망 통합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어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보안업체들은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사업을 총괄 관리하고 있는 행자부가 국내 보안업계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보안업체들은 만약 행자부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질 않을 경우 협회 및 언론을 통한 대외적인 집단대응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행자부의 이번 조치는 민간시장의 자율성을 가로막는 처사”라며 “현재 협회가 업계 대표로서 행자부와 이번 사건을 논의하고 있지만 만약 아무런 조치가 없을 경우 업체간 공동대응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보안시장에서 공공부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거의 절반에 가까운 실정이다. 올해에도 전체 보안시장에서 4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는 공공부문은 국내 보안산업을 이끌어오는 중요한 견인차 역할을 했던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국내 보안산업의 발전을 생각한다면 이번 사건은 빠른 시일내에 해결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정원의 ‘IDS 무상 보급’으로 발생한 보안업체와의 갈등은 국정원이 IDS 무상 보급범위를 중앙부처에서 주요 정부부처로 축소함에 따라 어느정도 해소된 상태이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