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금감원과 현대측은 원론적인 입장만 되풀이 할 뿐, 어떠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나 자칫 현대투신 사태가 또다시 수면위로 불거질 가능성이 짙은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금감원 관계자는 “AIG와 현대측의 협상이 지금도 계속된다는 보고를 받았고 금감원은 기업간 M&A에서 제3자의 역할만 하고있을 뿐 당사자 문제에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현대투신은 먼저 매각협상을 종료시켜야 한다”고 원론적인 답변만 되풀이했다.
그는 또 이근영 금감위원장이 현대투신-AIG 문제를 ‘인수후 유동성 지원’ 원칙으로 처리한다고 발표한데 대해 “유동성을 지원해달라는 어떠한 요구도 현대측으로부터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대투신 관계자는 “이미 협상의 실마리는 정부의 손에 넘어갔다”고 전제한 뒤 “정부의 지원방안만 기다릴 뿐 AIG와의 추가협상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금감원의 견해와는 상이한 입장을 보였다.
올 연말까지 AIG에 현대투신운용 현대투신증권 현대증권을 매각하고 1조2000억원의 부실을 해소하려던 현대투신의 경영개선협약 이행은 양측의 팽팽한 줄다리기로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대투신은 추가 경영개선협약을 금감위와 맺거나 공적자금이 투입된 후 정부주도 금융지주사에 편입돼야 하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문병선 기자 bs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