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위와 금감원은 정부주도의 지주회사에 편입될 이들 은행에 투입될 공적자금 규모를 최종 결정하고 계획대로 구조조정을 단행하기 위해서는 노조 동의서가 필수적이라며 해당 은행들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위는 당초 이들 은행들에게 정부주도의 지주회사에 들어가고 또 편입된 후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에 적극 협조한다는 내용의 노조동의서를 요구했으나 노조 반발에 부딪쳐 정부주도 지주회사에 들어간다는 내용의 동의서만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평화 광주 제주 경남은행 노조는 독자적인 ‘평화+지방은행’ 지주회사 설립을 주장했던 방침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금감위의 이같은 요구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빛은행 노조도 외환은행과의 합병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 주도의 지주회사가 외환은행 중심으로 되고 이 경우 한빛은행 직원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면서 구조조정에 동의하지 않기로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
한편 금융노조는 최근 금융당국의 은행 합병에 대한 압력에 공동 대응키 위해 11일 10개 은행 노조위원장들이 서울에서 공동 대책회의를 열기로 하는 등 금융당국과 은행노조들의 정면 충돌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11일 모임에는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했던 조흥 한빛 외환 평화 광주 제주 등 6개 은행을 포함, 최근 정부로부터 합병 압력을 받고 있는 국민 주택과 서울 경남 등 총 10개 은행 노조 위원장이 참여할 예정이어서 2차 은행 총파업까지 우려되고 있다.
송훈정 기자 hjso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