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생명의 경우 경영개선명령을 받고도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해 사실상 구조조정대상이 됐고, 경영정상화 계획서를 제출한 현대, 한일생명도 금감원으로부터 계획내용을 승인받지 못한 상태이다.
현대생명의 경우 현대그룹 계열분리 이후 대규모 증자가 여의치 않고 한일 역시 쌍용양회의 경영압박등으로 빠른 시일내에 정상화를 위한 돌파구 모색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경영정상화계획 제출사중 신한과 럭키생명은 금감원으로부터 계획서이행 가능성을 인정받아 단기적인 구조조대상에서는 사실상 제외됐다.
이에 따라 이들 생보사들의 향후 대응과 구조조정방식이 주목받고 있는데, 당국이 아직 구체적인 방안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 세가지 정도의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방식은 경영정상화 계획을 이행하지 못한 생보사들을 묶어 종금사처럼 금융지주회사의 한 부문으로 편입시키는 방식이다.
이와함께 과거 1차구조조정처럼 자산부채이전방식(P&A)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건실한 생보사가 인수토록 하는 것이나 인수사의 지급여력부담 가중등으로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관측이다.
또 하나의 방식으로는 자체적인 경영정상화가 사실상 어렵다고 판정이 내려진 삼신생명을 대한생명에 통합시켜 해외매각하는 방안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으나 역시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다.
이양우 기자 s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