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증권전산의 경우 원장이관 증권사를 제외한 전증권사의 주식거래업무 및 원장관리를 대행해 주고 있어 동원증권과 같은 재해 발생시 주식시장이 마비되는 사태도 벌어질 수 있어 여타 증권사 보다 더욱 백업체제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주식거래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증권거래소와 증권전산의 자체 원격지 백업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들은 동원증권 전산사고 이후 감독당국이 앞장서서 증권사들의 백업체제를 유도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주식거래업무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증권거래소와 증권전산의 백업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증권전산의 경우 SAVE+와 신공동 회원사의 주식거래업무와 원장등을 운영 관리해 주는 곳으로 어디보다 백업체제가 갖춰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주식시장운영 세칙에 따라 전체 주식시장의 25% 실거래가 중단될 경우 거래소 업무마저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증권사의 백업 구축보다 증권전산의 원격지 백업이 더욱 시급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현재 증권거래소와 증권전산은 건물내 로컬백업을 제외한 물리적인(원격지) 백업체제는 갖추지 못하고 있다.
증권사 한 관계자는 “아웃소싱의 경우 서비스의 안정성이 중요한 만큼 증권전산도 회원사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백업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이는 아웃소싱 비용을 높일 수 밖에 없다는 이유로 회피할 문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최근 증권전산은 일반 증권사의 백업영업에만 치중해 있어 자체 백업에 대해서는 증권사들 만큼 고민하지 않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증권거래소는 현재 현물, 선물, 옵션 등의 주문체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매매체결시스템의 원격지 백업을 검토하고 있다. 증권거래소 김정우 전산실장은 “백업을 위해 오랜 기간 검토작업을 진행해 왔다”며 “사업규모와 예산이 확정되는 데로 백업시스템 구축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증권전산은 정보계시스템을 제외한 SAVE+와 신공동라인에 대해서는 백업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전산은 신공동라인의 경우 회원사가 100% 운영비를 부담해 관리하고 있는 곳으로 회원사들의 사이트 백업에 대한 공동의견이 제시되어야만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SAVE+의 경우 현재 계속된 추가투자비용으로 인해 적자를 보고 있는 상태라 회원사 백업서비스를 위한 작업은 무리라고 밝혔다.
증권전산 관계자는 “신공동 및 SAVE+시스템은 증권전산이 예산을 부담해 백업체제를 마련할 수 없다”며 “회원사들이 공통된 의견을 제시하고 예산을 부담한다면 백업을 위한 작업을 맡아서 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임상연 기자 syl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