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위 관계자는 이와 관련 27일 “코메르츠방크와 정부가 각 2000억원과 4000억원을 출자하게 되는 외환은행의 경우 앞으로 감자문제가 검토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감자를 하더라도 주식이 병합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감자를 통해 재무구조가 건실해져 주가가 오르게 되면 주주 입장에서도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금융당국자는 “아직 감자에 관한 정부 방침이 확정된 게 없지만 정부내 분위기는 주가가 액면가 밑으로 크게 떨어져 있고 자본금의 절반 정도가 잠식된 은행들에 대해 액면가로 공적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자들은 “외환은행의 경우 코메르츠방크의 입장은 1대 주주인 정부가 감자를 결정한다면 자기들도 따라갈 수 밖에 없지 않느냐는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자들은 “그러나 정부 입장에서도 정부 재산을 감축하게 되는 기존 공적자금 투입은행들에 대한 감자는 부담스런 측면이 많고 재경부 국고국 등에서는 전례가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 반대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의 감자 검토와 관련 공적자금 투입 은행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 현재의 주가 수준이 1200~34
00원 수준에 불과하고 한빛 외환 광주 평화 제주은행 등의 경우 적게는 납입자본금의 40%에서 많게는 90%이상까지 잠식이 돼 있음을 감안할 때 정부의 액면가 증자 참여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