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계에 따르면 경영개선 계획 제출 시한이 보름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한빛은행은 당초 5억~10억달러의 자본증권(영구채)을 9~10월중 발행함으로써 공적자금 투입은 2조원 정도만 요청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은행의 잇단 대외 신인도 추락과 높은 조달 코스트부담을 감안, 이를 철회하기로 했다.
대신 정부에 기본자본 확충 기준 3조원 정도를 요구하기로 했다. 한빛은행은 기존 7800억원의 잠재손실 외에 총 7조원에 이르는 워크아웃 여신을 정리하고 한빛여신 등 자회사 부실까지 청산하려면 3조원 정도의 기본자본 확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은행 관계자들은 1차 구조조정 당시 공적자금이 충분히 투입되지 않아 은행 경영이 위기로 몰린 만큼 이번에는 충분한 공적자금이 투입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도이체방크와의 자문계약으로 경영개선계획 제출 대상에서는 빠졌지만 구조조정이 함께 추진되는 서울은행은 공적자금 투입 1조원, 내년초로 계획된 GDR 3억달러 발행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외환은행의 경우 당초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은 3000억원이면 될 것으로 보였으나 코메르츠방크가 추가 증자에 극력 반대하고 있어 정부가 6000억원을 전액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외환은행은 우선 정부 단독으로 6000억원을 증자하고 은행 경영이 정상화된 2~3년후 코메르츠가 자신들의 몫에 해당하는 3000억원의 지분을 되사는 방안을 마련, 정부와 코메르츠측을 설득하고 있다.
이밖에 광주은행은 BIS 비율을 10%로 맞추기 위해서는 4000억원 정도의 증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정부지원과 자체 증자를 동시 추진할 계획이지만 은행 경영사정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증자의 대부분을 정부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평화은행은 3000억~3500억원의 증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전액 스스로 해결한다는 방침 아래 김경우행장이 나서 노총 등 대주를 설득하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제주은행은 700억원의 증자가 필요하며 외국인 투자가들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