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의 지분을 갖고 있는 외환은행의 1대 주주인 정부는 자신들과 코메르츠가 각 3000억원씩 증자하자는 입장인 반면 이미 7848억원을 외환은행에 투입한 코메르츠는 더 이상의 증자참여는 어렵다며 대주주들의 부실채권에 대한 지급보증을 통해 문제를 풀자는 주장이다.
이처럼 양측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외환은행은 우선 6000억원을 정부 단독으로 증자해 주고 2~3년후 외환은행의 경영이 정상화되면 정부 증자분중 절반을 코메르츠가 인수하는 바이백(buy back)방식을 절충안으로 제시, 정부와 코메르츠측을 설득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외환은행 증자문제에 대한 재경부, 금감위의 입장은 초지일관이다. 대주주로서 책임을 지겠지만 코메르츠도 예외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같은 맥락에서 정부는 코메르츠와 자신들이 3000억원씩 부담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코메르츠가 주장하는 부실채권에 대한 개런티방식의 해결은 코메르츠가 책임을 전혀 안지겠다는 것으로 밖에 해석할 수 없으며 현실적으로 1개 은행을 위해 국회 동의를 받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부 일각의 강경론자들은 코메르츠가 증자참여를 끝까지 거부하면 외환은행에 대해 감자를 단행하고 정부 주도의 지주회사로 편입할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일은행을 인수한 미국의 뉴브리지캐피털과 자주 비교되면서 요즘 심기가 극도로 불편해 있는 코메르츠방크는 더 이상 증자참여는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외환은행에 대한 7848억원의 증자로 이미 내부 익스포저가 바닥났고 외환은행 주가가 액면가 이하로 떨어져 충당금만 4000억원 이상을 쌓고 있을 뿐더러 배당도 당분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또다시 증자를 하라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이다.
코메르츠는 대신 부실여신에 대한 지급보증을 통해 외환은행 문제를 풀자는 주장이다. 외환은행의 고정이하 부실여신은 현재 대략 4조원 수준이고 이에 대한 평균 충당금 적립률은 50%에 이르고 있다. 코메르츠의 주장은 만약 부실여신을 매각해 손실률이 100%에 이른다고 가정할 경우 기존 충당금 적립률 50%를 제외한 나머지 50%중 20%는 외환은행이, 나머지 30%중 절반인 15%는 자신들과 한국정부가 각각 책임을 지되 한국정부는 이를 개런티하는 국회동의를 받자는 입장이다.
코메르츠는 이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외환은행이 연말 BIS 비율 10%를 맞출 수 있는데 굳이 증자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이다.
이처럼 정부와 코메르츠의 입장이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김경림행장등 외환은행 경영진들은 타협점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김경림행장은 이달말 프라하에서 열리는 IMF 연례회의에 참석하기 앞서 독일을 방문, 코메르츠와 담판을 벌일 계획이다.
외환은행이 양대 주주를 설득하기 위해 내놓은 방안은 이른바 ‘바이백 방식’이다. 외환은행 주가하락에 따른 충당금 적립까지 합하면 코메르츠가 외환은행 때문에 떠안고 있는 부담이 1조2000억원에 이르는 만큼 우선 한국정부 단독으로 6000억원을 증자하자는 것. 이를 통해 장차 외환은행의 경영이 정상화돼 주가가 오르면 코메르츠가 현재 충당금으로 쌓아두고 있는 재원을 활용해 정부로부터 3000억원을 인수하면 된다는 것.
이같은 절충안에 대해 아직 코메르츠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도 나름대로 설득력있는 방안이지만 문제가 없지는 않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만약 코메르츠가 다른 은행과의 합병 등을 통해 없어지게 된다면 이같은 약속이 지켜질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보름정도 밖에 시간이 남지 않는 상황에서 박영철의장, 김경림행장등 외환은행 수뇌부가 어떤 성과물을 끌어낼 지 금융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