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행(은행장 강정원·사진)이 구조조정의 닻을 올렸다. 서울은행은 도이체방크의 경영 자문을 토대로 인력 및 조직정비의 일환으로 지난 24일 고참 본부장 및 부점장들의 보직을 회수해 관리역으로 대기 발령한 데 이어 늦어도 9월중으로는 1000명 안팎의 인력을 정리한다는 방침아래 노조와 협의에 들어갔다.
서울은행은 이같은 조직 및 인력 재구축이 마무리되면 정부로부터 공적자금을 지원받을 예정인데 서울은행 내에서는 공적자금 요청 규모가 최소 1조원에서 최대 2조원까지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서울은행은 지난 24일 은행 최고참인 45년생 14명에 대해 여신관리부 심사역에 임명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서울은행은 다음 단계로 내달말까지 조직정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도이체방크 및 외국 컨설팅회사 출신 등 17명이 책임지고 본점 부팀 조직을 하나씩 맡아 조직 정비 및 인선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강정원행장은 내달 20일까지 조직개편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지만 노조와의 협의 등이 필요해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울은행은 조직개편이 끝나면 본격적인 인력감축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관련 행내에서는 1~3급 45%, 4급 33%등 대대적인 감원설이 퍼지고 있지만 실제 감축수는 서울은행 전체직원 4600명중 1000명 안팎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인력감축과 관련 강정원 행장과 노조는 조만간 노사협의회를 통해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노조도 인력감축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다만 강정원행장은 8월말까지 인력감축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노조는 조직개편이 끝난 후 명예퇴직이 단행돼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같은 상황을 감안하면 서울은행의 대대적인 명예퇴직은 9월중순 추석연휴가 끝난 다음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이때쯤이면 2차 은행구조조정과 관련 추가로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은행들의 경우 대부분 인력감축에 나설 것으로 보여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하다.
서울은행 직원들의 관심사인 명예퇴직금 문제는 아직 노조와 은행측이 협의를 하지않아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1년치를 넘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서울은행은 조직 정비와 인력감축이 마무리되면 이같은 자구노력을 내세워 정부에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할 계획인데 공적자금 투입은행 등 자력 회생이 어려운 은행들과 함께 추진될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밝혔다.
즉 경영평가위원회에 의해 독자생존 가능 은행과 그렇지 못한 은행이 구분되고 부실은행에 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10월경에 서울은행 역시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는 설명이다.
서울은행의 공적 자금 요청규모는 최소 1조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강정원행장은 내심 2조원까지 받았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강정원행장은 공적자금 지원까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국제금융시장에서 IR을 실시, 그동안의 서울은행 경영 변화와 리스트럭처링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내년 초에는 최소 3억달러 정도의 DR발행에 나서 경영을 정상화시킨다는 포부를 갖고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