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은행은 영구채 발행을 위해 지난주 리만등 외국계 투자은행들로부터 제안서를 받았으며 이를 토대로 스킴이 짜여지면 금감원에 영구채 도입을 정식 건의할 계획이다.
한빛은행은 통상 영구채 발행금리가 어퍼티어2 후순위채에 비해 최대 100bp까지 높지만 5~10년후 콜옵션을 붙이는 등의 스킴을 짜면 후순위채 금리 수준으로 끌어 내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외환은행이 지난달 발행한 어퍼티어2 후순위채 금리는 13.75% 였다.
한편 금융계 관계자들은 발행금리가 14~15%에 이를 경우 4~5%의 역마진이 발생하는 것도 문제지만 동남아등 이머징마켓 소속 은행들 중에서는 발행한 사례가 없어 과연 국제시장에서 소화될 지도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동남아 국가 가운데 태국에서 외환위기 때 영구채를 발행한 적이 있으나 외화가 아닌 바트화로 창구에서 팔았다. 한빛은행은 만약 영구채 발행이 여의치 않을 경우 우선주를 발행하는 문제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한빛은행의 영구채 발행 추진과 관련, 금융계 일각에서는 엄청난 비용 부담을 감안하면 정부가 합병 실패를 인정하고 공적자금을 지원하되 소요 자금을 예금보험공사 등이 직접 나서 조달하는 게 국익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지적도 하고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상업-한일은행 합병 당시 은행측이 요구한 기본자본 기준 5조원을 지원하지 않고 3조3000억원만 지원한 게 이제 와서 화근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