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체방크 일부 관계자들은 이같은 일이 지속된다면 도이체방크가 서울은행 경영자문에서 철수할 수도 있다는 입장까지 밝혔던 것으로 전해졌다.
도이체방크는 지난 23일 중앙종금에 대한 서울은행의 크레딧라인 확대와 관련, 강정원행장 앞으로 보낸 메모랜덤에서 “도이체방크는 어드바이저로서 주주들(한국정부)에게 우리의 입장을 다시한번 반복해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제하고 “지난번 금감위 예보와 가진 은행장 선임 회의에서 한국 정부의 시장개입은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시장원리에 의해 서울은행의 경영이 이루어질 때 자본시장은 주주들에게 보상할 것이라고 강조했던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이체방크는 또 “한국 정부가 서울은행에게 신용이 좋지않은 금융기관에 크레딧라인을 확대하라는 것은 서울은행의 경영이 시장원리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며 우리는 이 문제에 있어 경영독립의 원칙을 지지한다”고 주장했다.
도이체방크는 “우리가 얻은 정보에 의하면 중앙종금에 크레딧라인을 확대하라는 것은 서울은행 수신 측면의 불안한 위치를 고려했을 때 무모한 일이며 신용리스크 관리 등에서 국제적인 베스트 프랙티스를 따르지 못하게 됨에 따라 미래 투자자들 사이에서 서울은행의 신용도에 상처를 입힐 것이며 국제시장과의 관계에서도 손상을 입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은행은 이같은 도이체방크의 서신을 금감위에도 전달했으나 서울은행이 중앙종금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다른 은행들의 종금사 지원도 어려울 것이라는 설득에 따라 중앙종금이 신청한 3500억원에 크게 못미치는 500억원만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위는 나머지 3000억원에 대해서는 산업은행과 농협에 반반씩 분담시켰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