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상담사회는 지난 16일 이용근 금융감독원장 앞으로 보낸 ‘선물시장 교란을 통한 시세조종 조사 및 규제 건의’라는 보고서를 통해 증권사들이 과도한 선물매도로 주가하락을 부추겨 옵션에서의 손실을 줄이려는 조작을 했다고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서 투자상담사회는 선물 만기일이었던 지난 8일 증권사가 내놓았던 3만402개 신규매도는 콜옵션의 과도한 매도로 발생했던 엄청난 손실을 최소화 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시세조종 혐의를 제기했다.
또한 상담사회는 기관들의 지나친 프로그램매매 규모를 선현물가 차익거래로만 국한시켜야 투자자의 거래소 기피증을 해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지난 16~20일 닷새동안 조사에 나선 금감원과 증권거래소는 상담사회가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 혐의가 없다는 판정을 내렸다.
거래소 관계자는 “증권사가 선물을 과다하게 매도한 것은 맞지만, 환매수분을 감안하면 매매패턴이 균형을 이뤘다”고 밝혔다. 또한 이 관계자는 증권사가 선물매도를 통한 주가하락으로 콜옵션매도익을 극대화시키려 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주가하락이 증권사에 보탬이 되지 않는데 굳이 조종을 하려 했다는 점은 납득하기 힘들며, 실제 조사한 결과로도 혐의점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따라서 매매규모가 컸던 점과 주가가 하락했던 사실은 증권사들의 총체적 전략 실패로 보는게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상담사회 최병화 부회장은 “전문가가 아닌 금감원과 거래소가 조사한 내용은 신빙성이 없다”며 “증권사 선물팀이 소위 ‘마피아’와 같다는 사실은 증시 전문가들이 다같이 인정하는 사실”이라며 반론을 제기했다.
또한 그는 “세계적으로도 기관은 헤지매매를, 개인이 투기매매를 하는 상황이지만, 우리나라는 기관의 투기매매가 극성을 부린다”며 관련 제도의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