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선물헤지를 이용해 만기 지급금을 고정시켜, 고객에게 장부가 평가 때와 동일한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신권 경영진의 마인드 부족으로 아직까지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어, 관련기관의 관심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22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가평가를 앞두고 유동적인 채권값을 국채선물로 적절히 헤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국채 1억원어치를 9000만원으로 할인해 매입하고, 이 때 선물을 90.00에 1계약(계약당 1억원)을 매도한다. 금리가 올라 채권값이 8000만원으로 떨어지면 투신사는 1000만원의 손해를 입게 되지만, 선물가격은 금리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80.00을 기록한다.
이때 80.00 가격에 선물을 다시 매수하게 되면 10포인트(90.00-80.00) 만큼의 선물차익을 얻게 된다. 보통 1포인트당 100만원이라면 90포인트에 팔고 80포인트에 샀으므로(80포인트에 산 뒤 90포인트에 판것과 동일한 효과) 10포인트의 차이인 1000만원의 이익을 남기게 된다. 따라서 채권손실 1000만원을 선물이익 1000만원으로 헤지가 가능하다.
국채 뿐 아니라 회사채도 이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 회사채 선물은 아직 없지만 국채와 회사채 금리는 대부분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국채로써 선물헤지가 가능한 것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들은 회사채의 100% 헤지는 불가능하지만 50%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한다. 즉 1000만원의 채권값 손실을 500만원 정도는 보상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되면 불확실한 금리 위험에도 불구 투자자에게 고정된 수익을 제공할 수 있어, 투신권으로의 자금유입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사모펀드, 비과세 펀드 등 투신대책이 남발되고 있지만 이들은 모두 1회용일 뿐이라는 지적인 반면 이러한 기법은 금융시스템 자체적인 유동성 조절효과를 가져 중장기적인 처방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투신권 경영진의 마인드 부족으로 선물 헤지가 양성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지난 1년간 국채선물에 투자한 금액은 전 금융기관중 투신권의 참여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참조>
이와 관련 선물업계 한 관계자는 “투신사들이 정부에 유동성 대책만 요구할 게 아니라 먼저 금융기법들을 이용한 위험방지에 눈을 돌리는 노력을 해야한다”며 “임원진의 마인드 부족으로 활성화가 더딘 상태”라고 지적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