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점과 사이버 2가지등 단선적으로 구분되던 각 증권사의 점포전략이 PB(개인금융)형, 혼합형, 미니형, 대형 등으로 다양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먼저 일정 투자금액 이상의 고액 계좌를 가진 투자자만을 위해 집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PB형 점포가 선보일 예정이다. PB형이란 우량고객을 위해 투자자문을 해주며, 이들의 자산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점포 방식이다. 대신등 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검토작업 중이며, 랩상품이 본격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하면 이러한 형태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성을 중심으로 이미 국내에 선뵈며 익숙해진 형태인 혼합형(전통적 상주고객을 위한 지점과 사이버영업소의 결합)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형태는 비용 및 인력 절감효과가 커, 증권사가 현재 가장 선호하는 형태로 알려졌다.
미니점포형도 등장한다. 이는 대신 E미래에셋등 사이버영업을 위주로 하는 증권사가 계획중이다. 사이버영업소가 꽤 큰 지역단위로 들어선 데 비해, 미니점포형은 ‘고객에 더 가까이’를 모토로 전국 곳곳을 파고든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본사 기업금융업무와 지점업무가 결합된 대형지점이 개별 증권사의 취약지역에 들어설 공산이 크다. 예상되는 지역은 대신이 부산 대구를 포함한 경남북 지방, 삼성은 인천등 경기지방, LG가 대전등 충청지방, 그리고 대우는 서울내 강남 등이 거론된다. 영업력이 취약한 지구를 상대로 대규모 금융타운을 건설해 한꺼번에 고객기반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복안이다.
이와같은 변화는 조정장세가 끝나고 증시가 본격적인 회복국면에 접어들면 가시화될 전망이다.
시중 증권사 한 관계자는 “현재는 시황이 안좋아 점포낼 자리가 있어도 안내는 형편”이지만 “증시가 오름세로 전환되면 각 증권사의 점포전략이 고객의 입맛에 맞는 ‘다양화’ 전략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