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증권사들이 미매각 수익증권의 대금을 모두 콜자금으로 수혈하는 등 차입구조가 단기에만 지나치게 집중돼 자금흐름의 왜곡이 심화되고 있다.
2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형증권사들이 미처 매각하지 못한 수익증권의 물량은 수조원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표참조>
문제는 투신상품을 중개하면서 일정 수수료를 받지만 환매사태가 발생하면 1차적인 대금지급을 증권사가 맡는 점이다.
투신사는 편입채권을 팔아 이를 증권사에 갚아야 하지만, 채권시장 냉각으로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또한 투신사가 지급불능에 빠지면서 증권사의 콜차입이 급증하고 있다.
대형 증권사의 콜차입 규모는 적게는 6000억원에서 많게는 3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단기차입 급증은 시중 자금사정이 급격 악화될 경우 유동성 위기로 몰릴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문병선 기자 bsmoo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