뿐만 아니라 코스닥등록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당자사나 마찬가지인 코스닥증권측과 이에 관한 사전협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면에서도 기관간 잡음이 일고 있다.
우선 9개의 코스닥등록기업이 발기인이 돼 발족된 이 협의체는 주 사업목적이 코스닥 등록기업들의 발행시장 및 유통시장업무에 대한 지원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현 상장사협의회와 똑같은 별도법인으로의 발전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게 지배적인 시각이다.
회원사간의 친목 도모와 코스닥등록기업들의 사업지원 등을 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증협 코스닥관리부를 사무국으로 하고 있어 사실상 사단법인 형태의 별도기관 성격을 띠고 있고, 이는 결국 일정기간이 지난 뒤 사무국 등을 협회에서 분리 및 부서 신설을 통해 1~2명의 상근직 임원자리를 만들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즉 앞으로 증협 퇴임임원에 대한 자리를 미리 만들어 놓으려는 것으로, 그 긍극적인 의도가 뻔하게 들여다 보인다는 것.
현재 코스닥 등록기업에 대한 똑같은 지원사업을 한국상장사협의회가 이미 추진하고 있다는 면에서 증협이 굳이 새로운 기구를 만들 필요성이 있느냐를 놓고도 곱지않은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상장사협의회가 코스닥증권측과 협의를 거쳐 지난 3월 초 코스닥등록법인에 대한 준회원 가입을 통해 사업을 추진한 바 있고, 이미 하나로통신 등 20여개사가 준회원으로 가입돼 업무지원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증협이 코스닥등록기업의 시장관리자임을 내세워 주관하겠다고 나선 것은 재고돼야 할 일이라는게 업계주변 의견이다.
무었보다도 상장사협의회는 기업들의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업무 및 각종 실무지원에 대한 노하우가 있다는점을 고려할 때 업무를 일원화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코스닥 등록기업의 업무지원사업을 둘러싸고 직· 간접적인 이해관계에 놓인 코스닥증권 및 상장사협의회는 심기가 편치않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상장사협의회는 어차피 추진된 사업이기 때문에 증협의 협의체 발족에 개의치 않고 계속 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한 준회원 가입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등록기업의 관리주체가 증협인점을 감안, 껄끄럽게 여기고 있다.
코스닥증권측 역시 증협의 등록기업관련 협의체를 별도로 설립한 것에 대해 합리적이지 못하다는 반응이며, 일단 제3자적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증협측은 코스닥기업관련 협의체 발족은 작년 말부터 구상해 온 것이라고 밝히고, 상장사협의회가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시장이 차별화 돼 있는 만큼 코스닥기업의 업무지원사업은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임상희 기자 l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