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 대우건설 대표이사 사장 (좌), 정항기 대우건설 관리대표 예정자 (우) / 사진=대우건설
산업은행은 매각작업과 관련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지는 않지만, 시장은 대우건설의 어닝 서프라이즈와 각자대표 체제 구축 등을 이유로 매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 내년 3월 치러질 제 20대 대통령선거 이후 산업은행 인사 변동이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매각 시계가 예상보다 빨라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 대우건설,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주택사업 집중 결실…6월 각자대표 체제 예고
대우건설은 올해 1분기 국내 주택사업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89.7%나 급증한 영업실적을 기록하며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에 성공했다.
올해 대우건설의 1분기 실적은 매출 1조 9390억 원, 영업이익 2294억 원, 당기순이익 1479억 원 순이었다.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2.4%)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지난해 기록한 1209억 원 대비 89.7%나 늘며 시장 전망치를 대폭 상회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주택건축 현장의 일시적 원가율 개선 요인과 해외 플랜트 현장 준공PJ 실적 개선 등의 영향”이라며 “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매출총이익도 3400억 원으로 작년 1분기 실적(2170억 원)을 크게 웃돌았고, 주택을 비롯한 대부분 사업 부문의 매출총이익률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 기조 장기화 속 신규 주택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이 같은 실적 호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기대감 속에서 대우건설의 주가 역시 지난해 말 주당 3980원 대에 거래되던 것이 실적발표 후인 5월 현재 7390원 대까지 크게 올랐다. 시장 일각에서는 주당 가격이 올라가면 매각 시에 매각 주간사에 인센티브가 주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리스크/원가 관리 시스템 등이 안정적으로 정착되면서 입찰 및 사업 관리 역량이 크게 개선됐다”면서 “대내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시스템을 기반으로 양질의 수주를 통해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다면 올해 초 공시한 향후 3개년간 수주 및 매출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호실적을 거둔 대우건설은 실적 개선의 선봉장이었던 김형닫기

대우건설 관계자는 “매각이 본격화될 경우, 관련 기능을 재무통인 정항기 CFO에 집중함으로써 매각 프로세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며, “매각 관련 업무에 대한 부담을 던 김형 사장은 안정적 사업 운영에 전념하기 수월해졌다”고 밝혔다.

△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 사진= KDB산업은행
◇ 대통령선거 이후 산업은 인사변동 여부도 중요 변수로
내년 예정된 제 20대 대통령선거와 그에 따른 산업은행 인사변동 여부 역시 중요한 변수로 지목된다.
이동걸닫기

이 회장은 2019년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2년 정도 기업 가치를 높인 후에 대우건설 재매각을 진행하겠다”고 발언한 바 있다. 그의 복안대로 대우건설은 현재 주택사업 집중의 결실을 맺으며 기업 가치를 상당 부분 개선한 상태다.
그러나 계획대로 매각이 수월하게 이뤄지지 않고 시간을 보내게 되면, 정국은 빠르게 대선 분위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남는다. 대선까지 불과 10개월여를 앞둔 지금, 여야 당대표가 새로 선출되고 나면 하반기부터는 이미 대선 분위기가 만연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대선 분위기에 휩쓸리게 되면 매각 작업이 상대적으로 관심의 중심에서 멀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는 한편, “여야를 막론하고 정권이 바뀐다면 내각부터 개편할 텐데,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에도 변화가 생긴다면 매각 동력이 떨어질 수 있지 않겠나”라고 짚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