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콜]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인텔 인수에 따른 주주환원 정책 변화 없다"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4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인텔 낸드사업 인수로 기존 주주환원 정책 변화 예상과 관련해 부정적인 우려가 있다”며 “이미 발표한 중기배당정책이 있어, 이번 인수로 인한...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컨콜]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인수 후 핵심 인력 확보 위한 계약상 장치 마련”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4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021년 규제 승인이 완료되면, 1차로 SSD 사업 인력이 소속을 바꾸게 된다”며 “인력이 인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 요소임을 인지하고 있다”고...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컨콜]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인텔 낸드 인수대금, 필요시 자산 유동화 방안 검토”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4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인텔의 낸드사업 인수 대금은 총 90억불로 1차 클로징 시점에 70억불 현금으로 지급했다”며 “절반은 보유 현금성 자산과 영업 현금 흐름을 활...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컨콜]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5년 내로 낸드 매출 3배 이상 늘릴 것”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4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경쟁사 대비 낸드 사업 시작이 늦은 핸디캡이 있어, 성장 변곡점에서 목표만큼 도약 속도를 낼 수 없다는 아쉬움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어...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컨콜] SK하이닉스, "4분기 D램 출하량 한 자릿수 중반 전망"
SK하이닉스는 4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4분기 당사의 D램 출하량은 3분기 대비 한 자릿수 중반, 낸드플래시는 한 자릿수 초반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실적속보] (잠정) SK하이닉스(연결), 2020/3Q 영업이익 12,996.96억원
[기사작성시간 : 2020.11.04 09:28](잠정) SK하이닉스(연결), 2020/3Q 영업이익 12,996.96억원11월 4일 전자공시(원본)에 따르면매출은 81,287.67억원(전년대비 +18.9% 증가),영업이익은 12,996.96억원(전년대비 +17...
2020-11-04 수요일 | 파봇기자
-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익 1조2996억…2분기 연속 영업익 1조원 넘겨
SK하이닉스가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1조2996억원을 기록했다고 4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했지만, 전 분기 대비 33.2% 감소한 수치다. 이로써 SK하이닉스는 지난 2분기에 이어 이번에도 분...
2020-11-04 수요일 | 정은경 기자
-
“SK하이닉스, 내년 3년 만에 최대 실적 전망...목표가↑”- KB증권
SK하이닉스가 내년 3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3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내년 영업이익이 8조5000억원을 기록해 지난 2018년 이후 3년 만에 최대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2020-11-03 화요일 | 홍승빈 기자
-
“SK하이닉스, 중장기 실적 및 주가 상승 효과 기대”- 신한금융투자
SK하이닉스가 중장기 실적 및 주가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21일 최도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SK하이닉스가 인텔의 낸드(NAND) 사업 부문을 양수함에 따라 중장기 실적 및 주가 업사이드...
2020-10-21 수요일 | 홍승빈 기자
-
SK하이닉스, 인텔 NAND 인수금액 부담이나 규모의 경제 등으로 경쟁력 확보 - 대신證
대신증권은 21일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인수금액은 부담스럽지만, NAND 산업내 규모의 경제와 기술력,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를 통해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수빈 연구원은 "NAND 산업 인텔의 시장점유율 7~9%, SK하이닉스 10~12%를 합산하면 20% 초반으로, 삼성전자 34%, 키옥시아+웨스턴디지...
2020-10-21 수요일 | 장태민
-
SK하이닉스 인텔 NAND 인수는 양사에 모두 윈윈으로 작용 - KB證
KB증권은 21일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 인수는 양사에 윈윈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원 연구원은 "SK하이닉스에 대해 12개월 목표주가 105,000원, 목표의견 Buy를 유지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
2020-10-21 수요일 | 장태민
-
SK하이닉스 인텔 NAND 인수...삼성전자에 긍정적이며, 하이닉스 흐금흐름 관리 필요 - 메리츠證
메리츠증권은 20일 "메모리 회복 전망 속에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부 인수는 삼성전자에 긍정적이며, SK하이닉스에는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김선우 연구원은 "NAND 산업 내 인수합병은 역설적으...
2020-10-20 화요일 | 장태민
-
'인텔 낸드 인수' 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 "D램·낸드 양 날개로 비상하기 위한 결단"
"낸드 사업에서도 D램 사업만큼 확고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이석희 SK하이닉스 사장은 20일 인텔의 낸드 사업부문 인수 발표하고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이같이...
2020-10-20 화요일 | 곽호룡 기자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 90억달러에 인수
SK하이닉스가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을 인수한다. SK하이닉스는 D램에 이어 낸드 분야에서도 세계 2위권 기업으로 단숨에 도약할 전망이다.SK하이닉스는 20일 인텔의 낸드 메모리와 저장장치 사업 인수를 위한 양도 계...
2020-10-20 화요일 | 곽호룡 기자
-
[특징주] 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사업 인수…매매거래 일시정지
SK하이닉스가 미국 인텔의 낸드 사업 부문 전체를 10조3000억원 규모에 인수한다. SK하이닉스는 20일 미 인텔의 메모리 사업 부문인 낸드 부문을 10조3104억원에 인수하는 내용의 양도 양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
2020-10-20 화요일 | 정선은 기자
-
SK하이닉스, 인텔 메모리사업 인수 추진…낸드플래시 강화 포석
,SK하이닉스가 인텔 메모리사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가 D램에 이어 낸드플래시 분야에서도 세계 2위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은 S...
2020-10-20 화요일 | 곽호룡 기자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인수가 10.3조원
2020-10-20 화요일 | 장안나
-
WSJ "SK하이닉스, 인텔 낸드메모리 인수 임박..인수가 100억$ 추산"
2020-10-20 화요일 | 장안나
-
[주간추천종목·SK증권] SK하이닉스·한샘·LG디스플레이
◇ SK하이닉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의 퇴출이 기정 사실화로 동사의 매출 지분 변화 예정. 대표적으로 애플·Oppo·Vivo·샤오미 등의 고객사가 화웨이의 시장 지분을 나눠 가질 전망. 이고 이들은...
2020-10-17 토요일 | 홍승빈 기자
-
“SK하이닉스, 4분기 서버 D램 수요 변화 시작”- KB증권
SK하이닉스가 올해 4분기 서버 디램(DRAM) 재고가 정상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14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올 4분기 말 북미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서버 DRAM 재고가 정상화됨에 따라 모바일 DRAM 수요가 예상을...
2020-10-14 수요일 | 홍승빈 기자
-
SK하이닉스, 한국IDC 디지털 전환 어워드 3개 부문 휩쓸어
SK하이닉스가 'IDC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어워드 2020'에서 10개 부문 가운데 3개 부문 한국 수상사에 선정됐다.IDC DX 어워드는 IT 분야 시장분석 기관인 IDC가 주관하는 행사다. 코로나19 속에 참가사들의 디...
2020-10-13 화요일 | 곽호룡 기자
-
SK하이닉스, 2배 빠른 반도체 DDR5 출시…"빅데이터 시대 공략"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DDR5 D램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DDR5는 차세대 D램 규격이다. 빅데이터·인공지능·머신러닝 등에 최적화된 초고속·고용량 제품이다.SK하이닉스는 2018년 11월 16Gb DDR5를 세계 최초...
2020-10-06 화요일 | 곽호룡 기자
-
SK하이닉스, 새 데이터 표준 체계 구축…디지털 혁신 가속
SK하이닉스는 이달 설비·자재·제품·장비·공정 등 5개 분야 기초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표준 체계를 마련했다고 21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알렸다. 2017년부터 착수한 '마스터 데이터 표준화 프로젝트'가 3년 만에...
2020-09-21 월요일 | 곽호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