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대책은 재해 피해 복구와 농업경영비 부담 완화, 농업·농촌 지원서비스 확충을 통해 지속가능한 영농기반 구축과 농가 경영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지역농업발전사업 예산을 전년 대비 100억 원 증액한 800억 원 규모로 확대하고, 고정투자 지원한도를 상향(1억 원→1.5억 원)해 농축협의 부담을 완화했다. 친환경비료와 유통활성화 등 미래농업 지원비율을 높여 지역 단위의 농업 경쟁력 제고에도 힘쓰고 있다.
아울러 농기계 수리센터의 광역화를 추진해 2025년 기준 32개소까지 확대했으며, 농기계 수리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순회수리단을 운영하여 농업인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 계통구매 경쟁입찰 품목을 120개로 확대하고, 연간 자재 할인행사를 12회로 늘려 농자재 구매비 절감 효과를 높이고 있다.
전국 자재판매장을 대상으로 10~30% 할인행사를 실시하여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축산농가의 부담 완화를 위해 사료가격 인하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논 하계 조사료 재배면적을 2,357ha로 확대해 자급사료 생산기반을 확충했다. 또한 톱밥·미강 등 필수자재 공동구매를 통해 원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농식품 접근성이 낮은 농촌·도서지역 주민들에게 신선한 먹거리를 공급하고, 지역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있다.
아울러 농축협 유휴부지 등을 활용한 태양광발전소 300개소를 구축해 농업인의 소득 다각화와 에너지 자립에 기여하고 있다. 정부의‘햇빛연금’ 정책에 대응해 주민참여형 태양광협동조합 설립도 추진 중이다.
또한, 축산농가의 스마트 영농을 지원하기 위해 'NH하나로목장' 플랫폼 가입 농가를 2만2천 명까지 확대했다. 이 플랫폼을 통해 도축·번식·개량관리 등 축산업 전반의 주요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농협은 향후 AI·데이터 기반의 정밀 사양관리로 농가 맞춤형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동규 한국금융신문 기자 dkleej@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