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균 벤처캐피탈협회장은 30일 오전10시 중소기업중앙회 상생룸에서 열린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간담회는 한국벤처캐피탈협회는 투자자, 벤처기업협회는 상장 준비 기업, 코스닥협회는 상장기업의 관점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3대 핵심 정책제안을 정부와 시장에 전달하기 위해 개최됐다.
김학균 회장은 "한국은 시가총액 상위 30개 기업 중 혁신기업이 5개밖에 되지 않으며, 시총 기준으로는 고작 10%에 불과하다"라며 "현 코스닥 시장은 혁신·벤처기업 성장 자금 공급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코스닥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장기 기관투자자 중심으로의 체질 개선을 위해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김학균 벤처캐피탈협회 회장 뿐 아니라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 이동훈 코스닥협회장이 벤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시가총액 상위 코스닥 회사가 코스피로 이전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주가가 폭등하는 상황이 벌어진다"라며 "코스닥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해 글로벌 혁신기업을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고 코스닥 활성화 동력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김학균 회장은 코스닥 시장에 기관투자가 많아져야 벤처 투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진단, 기관투자자를 모을 수 있는 방안을 30조원 코스닥 활성화 펀드는 제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장기적인 펀더멘탈 골조라는 기관투자 공급해야 전체 벤처 투자 시장 활력 불어넣을 수 있을 거라고 판단했다"라며 "취임 이후 이걸 구체적으로 제도화하기 위해 30조원 재원마련 방안을 고민했고, 결론적으로는 벤처 펀드를 조성해왔듯이 절반 정도를 정책자금으로 꾸리는게 맞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
벤처캐피탈협회에서는 '코스닥 활성화 펀드' 조성 방안으로 정부·정책금융기관 출자를 통해 민간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하는 母펀드 조성하고 일반 국민을 포함한 민간 자금을 매칭하는 자펀드 결성을 제시했다.
김학균 회장은 "정부와 정책 금융기관, 연기금 등의 출자를 통해 민간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 母펀드를 결성하고, 연금과 기관의 민간 자금을 매칭한 子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라며 "이를 통해 연간 10조원씩 3년간 총 30조원의 신규 펀드를 조성한다면 시장 분위기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코스닥 활성화펀드 자펀드에서 마련된 자금은 구주 50%, 신주 30%에 투자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신주 30% 설정에 대해 테슬라처럼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글로벌 혁신기업이 나오려면 규모가 크지 않아도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기업에도 자금이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테슬라처럼 글로벌 기업으로 갈 수 있는 무수한 잠재력 30% 이상 투자해서 거기서 유동성을 궁극적으로 글로벌로 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라며 "구주 거래 역시 중요하므로 민간 자금을 매칭한 자펀드에서 코스닥 예비 상장기업의 장내거래, 블록딜 등 구주와 공모주에 50%, 그리고 중소벤처기업과 코스닥 상장기업의 신주에 30% 이상 투자하게끔 운용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부와 법정기금 투자 비중이 적어 활용할 자금력이 있는 만큼 재원 마련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김학균 회장은 "국내 연기금의 코스닥시장에 대한 투자 비중은 4%대로 시가총액의 1/4에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연기금, 법정 기금 등 수십조 원 규모의 안전 자본이 지속적으로 유입된다면, 장기 투자와 기관투자자들의 참여를 통해 벤처기업의 성장 자금 유치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를 위해 법정기금 일부를 의무적으로 벤처나 스타트업에 투자하도록 법령을 개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 회장은 "67개 법정기금의 여유자금을 포함한 총 운용자산의 일정 규모 이상을 각 기금 목적 및 용도에 맞는 벤처‧스타트업 투자를 의무화하도록 법령을 개정해야 한다"라며 "코스닥 유동성 확보 등을 위한 혁신자금의 공급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벤처‧스타트업 성장 가속화가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코스닥 활성화 펀드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 제공도 제언했다.
김학균 회장은 "기존 코스닥 벤처펀드보다 파격적인 15%의 소득공제(투자금 한도 5000만원)와 투자금의 5% 법인세 공제 적용을 해야 한다"라며 "민간 투자자의 투자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정책자금의 우선손실 충당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벤처기업협회는 코스닥 시장 심사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 회장은 "민간 주도의 책임형 상장 구조를 도입해 주관사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 중심의 질적 심사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라며 "상장 폐지 제도 정비 및 구조조정 활성화를 통해 ‘다산다사(多産多死)’의 역동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코스닥협회는 장기투자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동훈 코스닥협회 회장은 "기관투자자의 코스닥시장 참여를 유도하고, 특히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 확대를 위해 코스닥이 시장이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중만큼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라며 "장기투자 시 배당소득 세율 추가 인하,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전하경 한국금융신문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