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HN클라우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하는 'AI컴퓨팅자원 활용기반 강화(GPU 확보·구축·운용지원)사업’의 최다 구축 사업자로 최종 선정된 3개 기업 중 예산 1조원 이상을 활용해 GPU를 공급한다고 29일 밝혔다. / 사진=NHN클라우드
이미지 확대보기NHN클라우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하는 'AI컴퓨팅자원 활용기반 강화(GPU 확보·구축·운용지원)사업’의 최다 구축 사업자로 최종 선정된 3개 기업 중 예산 1조원 이상을 활용해 GPU를 공급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의 전체 예산은 1조4600억원이다.
NHN클라우드는 이번 사업에 확보된 전체 GPU 1만3000장 중 최다 규모인 7656장을 B200으로 확보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최신 기종 B200 기준 전체 규모의 75% 수준에 달한다.
NHN클라우드는 대표 사업자로서 3사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GPU인프라 통합포털도 제공한다.
NHN클라우드가 제안한 사업은 발열이 많은 고성능 GPU 냉각에 효과적인 수냉식 냉각 방식을 도입해 가동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 최초로 4000장 이상의 GPU를 단일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이를 수냉식으로 구축함으로써, 대규모GPU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종합적인 기술 역량을 입증했다.
상면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스탠다드 기반으로 구축된 데이터센터를 확보해 글로벌 업타임(동작 중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시간 비율) 운영 요구 수준에 준하는 광경화 방식(SLA) 설계를 반영한다. 또 랙당 75kW의 고집적 전력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GPU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이다. 데이터센터는 올해 말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내년 1월 1일 베타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NHN클라우드는 정부가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사업 기조에 발맞춰 내년 1월에 시범운영을 시작하고, 과제 요건을 맞춰 3월 중순 정식 서비스를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는 “이번 선정은 NHN클라우드가 아시아 최초로 최신 GPU를 도입해 광주 국가AI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서비스형GPU(GPUaaS)사업을 운영한 경험이 인정받은 결과로, 향후 대규모 GPU 인프라 구축 사업의 우위를 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NHN클라우드는 국내 대표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업자(CSP)로서 과기부와 NIPA가 국가적 미래를 위해 추진하는 AI 컴퓨팅 인프라를 신속하게 확충할 수 있도록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