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삼성증권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삼성증권의 총 개인형 연금 잔고는 20조 1천억원으로, 2024년 말 대비 약 17.6% 증가했다. 전체 연금 잔고(기업형 퇴직연금 포함)는 같은 기간 21조 3천억원에서 24조 3천억원으로 1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형 연금 세부 항목별로 보면, 연금저축이 19.1%, DC형이 14.9%, IRP가 18.3% 증가하며 고르게 성장했다. 연령별로는 40~50대 고객의 연금자산이 10조 9천억원에서 13조 1천억원으로 20.6% 늘어나 중장년층의 유입세가 두드러졌다.
상품별로는 상장지수펀드(ETF) 편입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ETF 관련 연금 잔고는 같은 기간 6조 8천억원에서 9조원으로 31.7% 늘어나며 연금 내 주요 자산으로 자리잡았다.
퇴직연금(DB+DC+IRP) 전체 잔고도 12.3% 증가해,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 기준 퇴직연금 잔고 1조원 이상 증권사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삼성증권은 이러한 성과의 배경으로 고객 중심의 연금 서비스 확대를 꼽고 있다. 2021년에는 업계 최초로 운용·자산관리 수수료를 면제한 ‘다이렉트IRP’를 출시했고, 서류 작성 없이 비대면으로 연금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 ‘3분 연금’ 서비스를 도입했다.
또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엠팝(mPOP)을 통해 ‘연금 S톡’, ‘로보 일임’, ‘ETF 모으기’ 등 다양한 연금 관리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전문 연금 상담을 위한 전용 센터도 운영 중이다. 서울, 수원, 대구 등 3곳에 위치한 연금센터는 PB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가 상주해 고객 대상 1:1 맞춤 상담은 물론, 기업 퇴직연금 도입을 위한 세미나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약 200건 이상의 세미나를 진행했다.
삼성증권 연금본부장 이성주 상무는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삼성증권은 최적의 연금 관리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 파트너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