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성빈 BNK부산은행장 /사진=한국금융신문
1일 금융권에 따르면 부산은행의 올해 2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4% 늘어난 1262억원을 기록했다. 아울러 상반기 순이익은 2514억원으로 같은기간 5.6%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부산은행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부분은 신탁부문이익의 증가다. 신탁부문이익은 올해 상반기 8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5% 증가했다. 또한 전분기 대비로는 7.7% 증가한 수치다. 법인세도 줄었다. 부산은행의 올해 상반기 법인세는 71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1% 줄었다.
하지만 부산은행의 실적은 전년동기대비 전반적으로 하락한 모양새를 보였다. 수수료부문이익은 2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6.1% 줄었으며, 판매관리비는 3635억원으로 같은기간 6.1% 증가했다.
충당금전입액도 전년동기대비 19.9% 증가한 1271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의 이자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도 전분기 대비 소폭 줄어들었다. 부산은행의 올해 2분기 NIM은 1.92%로 전분기대비 0.01%p 하락했다.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NIS(Net Interest Spread)는 전분기 대비 0.01%p 하락한 2.24%를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로는 0.02%p 상승했다.
영업이익 대비 인건비나 전산비 등 판매관리비를 얼마나 지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3635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39% 증가한 44.73%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경비율은 낮을수록 경영 효율성이 좋은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부산은행의 총자산은 2분기 기준으로 77조9831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0.5%p 하락했다.

BNK부산은행 요약 손익계산서 /자료제공=BNK부산은행
특히 중소기업과 소호(SOHO) 대출이 전분기 대비 각각 0.5%p, 1.4%p 줄었다. 대신 대기업 대출의 경우 2분기 말 기준 3조181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6% 증가하며 우량대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수신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부산은행의 저원가성 수신은 빠져 나갔다. 2분기 말 부산은행의 원화예수금은 57조9276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2.2% 하락했다. 저원가성 수신과 MMDA(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예금) 각각 18조7261억원, 3조131억원으로 4.9%, 26.7% 줄었다.

BNK부산은행 NIM 현황 /자료제공=BNK부산은행 제공
특히 회수의문과 추정손실이 크게 늘었다. 회수의문은 같은기간 1012억원으로 같은 기간 101.19% 늘었고, 추정손실도 5820억원으로 같은기간 912.17% 증가했다. 이에 연체율도 2분기 말 0.67%로 0.05%p 늘었다.
부산은행 관계자는 “충당금전입액의 증가는 지역 경기와 부동산 침체의 여파에 따른 것”이라며 “이자이익부분과 신탁부문이익의 실적이 이번 분기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체율과 건전성은 부산은행이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기에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BNK부산은행의 자산건전성 표 /자료제공=BNK부산은행
임이랑 한국금융신문 기자 iyr625@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