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지난해 4분기 증가폭은 전분기 대비 둔화됐다.
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닫기

2023년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 부동산 35조1000억원 중 2조4100억원(6.85%)에서 EOD 사유가 발생했다.
지난해 4분기 중 1000억원 늘어서, 3분기 상승폭(9800억원) 대비 둔화됐다.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규모 대비 EOD 발생 규모 비율은 복합시설 등이 25.72%로 높았다. 이어 주거용 10.39%, 오피스 4.43%, 상가 3.5%, 호텔 2.43%였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에 대한 적정 손실 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는 한편, EOD 등 특이동향 신속보고체계 운영 및 2024년내 만기도래 자산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만기도래 분포를 보면, 2024년이 10조6000억원으로 18.3%다. 2026년 16조5000억원, 2028년 12조6000억원, 2030년 5조2000억원, 2031년 이후 12조7000억원이다.
금감원은 "아울러 금융회사의 대체투자 프로세스를 점검하여 내부통제 강화를 유도하는 등 금융회사 자체 리스크 관리 역량을 제고하도록 감독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