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 한화생명
이미지 확대보기22일 한화생명이 암 진단보험금이 암 환자의 사망률에 얼마나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암 보험금 수령고객의 5년이내 사망률(2008년~2022년)을 분석한 결과, 암 진단보험금이 없는 고객 암 사망률은 34.4%인 반면, 암 진단보험금을 5000만원 이상 보유한 고객 암 사망률은 15.7%였다.
암은 치료비 부담이 큰 만큼 소득수준에 비례해 사망률이 높아진다. 2008~2022년 암 보험금 지급고객 소득 수준에 따른 암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저소득(1분위) 고객의 암 사망률은 31.8%로, 고소득(5분위) 고객의 암 사망률 20.7% 대비 약 1.5배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암 진단금이 있으면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사망률은 모두 낮아졌다. 한화생명이 분석한 고소득자(5분위)의 전체 암 사망률은 20.7%였으며 이 중 암 진단보험금이 5000만원 이상 보유하면 고소득자 암 사망률이 12%로 낮아졌다. 고소득이라 하더라도 암 진단보험금이 없는 경우 암 사망률은 29%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저소득자(1분위) 중에서도 암 진단보험금을 5000만원 이상 보유한 경우 암 사망률은 18.1%로 매우 낮았다.
자료 = 한화생명
이미지 확대보기한화생명은 암 진단보험금 5000만원 이상 고객 생존률이 높은건 목돈의 보험금은 더 좋은 의료기술과 더 많은 의료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분석 고객군이 어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는지를 크게 메이저병원, 3차병원, 종합병원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암 진단보험금을 많이 보유할수록, 암 치료 도중 기존 병원 대비 상급병원으로 병원을 변경하는 ‘전원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메이저병원은 서울대, 세브란스, 강남성모, 서울아산, 삼성서울병원을 3차 병원은 20개 이상 진료과목을 갖춘 종합병원, 종합병원은 7개 또는 9개 이상 진료과목과 100개 이상 병상을 갖춘 의료기관으로 분류했다.
암 진단보험금이 없는 고객의 상급병원으로의 전원율은 24% 정도였으나, 5000만원 이상을 보유한 고객은 44%로 나타났다. 치료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수록, 더 적극적으로 상급병원에서 치료받는 경향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료 = 한명
이미지 확대보기암 진단보험금이 적으면 암 발생 후 보험 해지율이 높게 나타났다. 5000만원 이상의 충분한 암 진단보험금을 보유한 고객의 5년 계약해지율은 10.7%에 불과했다. 암 진단보험금을 보유하지 않은 고객의 5년 계약해지율은 44.1%로 높았다.
한화생명은 "암 진단을 받더라도 생계와 치료비용에 보태야 한다"라며 "보유한 보험계약의 절반은 해약할 정도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화생명은 암 진단보험금 규모가 클수록 암 사망률 감소 패턴이 나타나므로 경제적 여유가 된다면 충분한 암 진단보험금을 준비하라고 조언했다.
전경원 한화생명 DataLAB(데이터랩) 팀장은 "“암 발생을 막을 방법을 찾기는 힘들지만, 암보험을 통해 사망률을 낮추는 것은 가능하다는 것을 빅데이터를 통해 확인했다.”며, “보험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지만, 납입해야 하는 보험료를 감안할 때 암 진단보험금 5천만원 정도가 암 생존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적정 수준으로 분석된다”라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