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개통을 앞둔 GTX-A 노선에 이어 B·C, 김포와 부천을 연결할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등의 계획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면서 수요자들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가장 속도가 빠른 GTX-A 노선은 내년 상반기 수서~동탄 구간 개통을 앞두고 있다. 여기에 운정~서울역 구간 역시 2024년 중으로 개통할 계획이다. 공사가 다소 늦어진 삼성역 때문에 완전개통까지는 시간이 조금 더 소요될 예정이나, 2025년 11월 중 무정차 통과가 가능하도록 해 경기 북부와 남부의 연결이라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을 전망이다.
GTX-B 역시 민자구간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마치며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민자구간(인천대입구~용산·상봉~마석) 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는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선정된 상태며, 재정구간 제4공구는 KCC건설 컨소시엄이 실시설계 적격자로 선정됐다.
대우건설 컨소시엄이 국토부와 실시협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마치고 사업 시행자로 최종 확정되면 GTX-B노선 민자 구간 건설과 재정 구간(용산~상봉)을 포함한 전 구간 운영(40년)을 맡게 된다. 국토부는 GTX-B 노선과 관련해 2024년 착공, 2030년 개통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지난 2021년 현대건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한 GTX-C 노선 역시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1월 공익감사 청구 이후 같은 해 11월 감사원 감사가 종료된 GTX-C 노선은 올해 2월 KDI의 민자적격성 검토까지 완료하며 본궤도에 올랐다. 향후 이 노선은 상반기 중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하반기 중에 착공에 돌입할 계획이며, 이르면 2028년 개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GTX-C 노선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였던 창동역 지하화 계획 역시 윤석열닫기

수도권 내 대표적인 혼잡 노선으로 꼽히는 김포골드라인의 혼잡도를 완화시켜줄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역시 논의되고 있다. 장기역부터 부천종합운동장역 사이 21.1㎞ 구간을 연결할 이 노선은 현재 국토부에 의해 예비타당성조사가 신청돼 기획재정부가 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조사 대상에 선정되면 KDI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뒤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사업추진에 들어갈 수 있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의 대두로 기존 GTX-D 노선이 무기연기된 것이 아니냐는 보도가 나오자, 국토부는 “현재 GTX 확충 기획연구를 통해 GTX-D 사업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을 검토 중에 있으며, 최적 추진방안을 마련하여 연구 종료 즉시 후속 절차에 착수하는 등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라며 해당 노선의 파기 가능성을 일축하고 나섰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