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포스코 현장을 방문한 주영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번 간담회는 주 본부장이 취임 후 첫 번째 현장 방문으로 포스코를 방문한 것은, 현재 우리 과학기술과 산업계가 직면한 최대의 난제인 탄소중립에 대한 정부의 지원 의지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산업분야에서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다배출산업이자 국가의 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면서도 산업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지원과 민-관,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데에 인식을 같이 하고 소통을 확대해가기로 했다.
주 본부장은 모두 발언에서 확실한 성과 창출을 위한 3가지 탄소중립연구개발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는 "탄소중립 정책 추진에 있어 민간의 의견을 최우선에 두고, 이를 위해 민관합동 과학기술위원회 등을 통해 기업의 의견을 상시 수렴·반영하며, 탄소중립연구개발는 명확히 임무를 설정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이를 해결하는 방식의 임무지향 연구개발혁신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며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등을 통한 범부처 지휘본부를 강화하고, 이를 중심으로 부처 협업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도 간담회를 통해 ‘2050 탄소중립 이행 로드맵’과 ‘고유 FINEX 기술을 기반으로 한 수소환원제철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산업 분야 탄소중립을 위해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그린 전력 인프라 구축 등에도 민‧관이 적극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 역시 제시했다.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은 “철강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적극적인 기술개발‧투자와 정부‧산‧학‧연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탄소감축 목표 달성과 국제 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달성하여 친환경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