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올해 정부 예산 6000억원과 정책자금을 활용해 4조원 규모의 정책형 뉴딜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지난해 뉴딜펀드는 당초 목표(4조원)를 웃도는 5조6000억원 규모로 결성됐다. 이 가운데 국민참여 뉴딜펀드를 2500억원 규모로 조성했다.
금융위는 지난해 결성된 뉴딜펀드 중 약 5000억원 규모의 펀드자금이 디지털·그린 등 뉴딜분야에 투자됐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위는 올해 탄소중립·지역뉴딜 등 정책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펀드 자금공급을 강화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분야에 운용사 우선 선정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지역뉴딜의 경우 전년 대비 2배 이상 펀드규모를 확대한다.
또 특정 뉴딜분야에 펀드자금이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도록 자금배분을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녹색분류체계, 메타버스 등 최신 뉴딜동향을 반영해 개편한 '뉴딜투자 공동기준'에 따라 미래 핵심산업 지원에 펀드 투자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다.
뉴딜펀드의 조속한 결성·투자를 위해 펀드 결성시한은 8개월에서 7개월로 단축한다. 펀드 조기결성과 투자성과에 따라 향후 정책펀드 운용사 선정 시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도 부여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뉴딜펀드 주관기관으로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 외에 공모를 통해 민간 운용사 1곳을 추가 선정해 펀드 운용을 분산시키기로 했다. 선정된 민간 운용사는 4조원 중 20%인 8000억원(잠정)을 주관할 예정이다.
운용성과가 우수한 운용사에는 펀드 운용자금을 확대 배분해 성과에 기반한 펀드 운용을 추진한다.
산업은행과 성장금융은 뉴딜펀드를 함께 운영할 민간 주관기관 및 자펀드 운용사 선정을 이달중 공고하고 3월 중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올해 4조원 규모 뉴딜펀드의 차질없는 조성과 투자성과 창출을 위해 체계적인 평가·관리 및 시장과의 소통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