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투자협회는 이광재 의원실, 김병욱 의원실과 공동으로 1일 '투자형 ISA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왼쪽부터) 김성봉 삼성증권 상품지원담당,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처장, 박영석 자본시장연구원장, 이광재 국회의원,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 양순필 기획재정부 금융세제과장, 고상범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훈 서울시립대 교수 / 사진제공= 금융투자협회(2021.06.01)
이미지 확대보기금융투자협회는 이광재 의원실·김병욱 의원실과 공동으로 1일 '투자형 ISA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금융투자상품 전용 장기투자 세제상품 도입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제발표를 맡은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투자자산 비중 확대는 저금리·고령화 시대 필수적 자산관리 방향으로 가계자산이 자본시장에 유입되어 장기간 머무를 수 있도록 국민통장인 ISA에 정부의 적극적 세제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ISA의 유형을 영국모델처럼 가입목적에 따라 안전자산 위주의 ‘일반형ISA’와 자본시장 투자 전용 ‘투자형ISA’로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투자형ISA’에 대해서는 수익에 대해 전액 비과세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박영석 자본시장연구원 원장 주재로 열린 패널토론에서 박훈 서울시립대 교수는 “2023년 금융투자소득 과세제도 도입으로 비과세한도 등에서 현재 ISA 상품이 유명무실하게 될 수 있으므로, 장기투자에 대한 과감한 세제혜택 지원 등을 위해 ISA에 대한 과세체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업계 대표로 나온 김성봉 삼성증권 상품지원담당은 “올해 신규 도입된 투자중개형 ISA 가입자수가 3개월만에 58만계좌에 달하는 등 투자상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이라며 "적절한 세제 지원을 통해 부동산과 예·적금에 편중된 가계자금이 자본시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정부에서도 제도 개선 필요성 관련해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고상범 금융위원회 자산운용과장은 "금융투자소득 과세 도입 시 ISA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를 살펴봐야 한다"며 "인센티브가 적극적일 필요가 있는 것인데 세제 균형성과 인센티브 형평성도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재철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