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FD는 주요 20개국(G20)의 요청에 따라 금융안정위원회(FSB)가 기후변화 관련 정보의 공개를 위해 2015년 설립한 글로벌 협의체다. TCFD가 2017년 발표한 권고안은 지배구조,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목표치 등 4개 주요 항목의 공개를 통해 기업이 기후변화 관련 위험과 기회를 조직의 위험관리 및 의사결정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까지 78개국 2000여개 이상 기관이 TCFD 및 권고안에 지지를 선언했다. 국내에서도 환경부와 기업은행, 한국거래소 등 44개 기관이 동참하고 있다.
도규상닫기

금융위는 환경부·산업부와 함께 다음달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를 마련하고 하반기 중 금융권에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3분기 중에는 금융권의 녹색 분야 자금지원 원칙을 담은 ‘금융권 녹색금융 모범규준’과 기후리스크를 건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후리스크 관리 지침서’를 마련한다.
아울러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보공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통합 정보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이날 제1차 ‘그린금융 협의회’를 열고 산은, 수은, 기은, 거래소 등 정책금융기관 7곳과 녹색금융 현황과 향후 계획 등도 논의했다. 도 부위원장은 “협의회를 통해 녹색 분야 정책자금 지원전략을 논의하는 등 녹색산업 전반에 자금을 원활히 공급하고 정책금융 지원의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오는 30~31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2021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P4G 서울정상회의)’를 지원하기 위해 오는 29일 ‘녹색금융 특별 세션’도 운영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녹색회복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