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건형 연구원은 "미국의 연간 물가 상승률 전망을 3% 초반으로 상향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하 연구원은 "수요의 강한 회복은 경제 정상화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3분기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반면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차질은 연내까지는 지속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선진국의 투자 확대가 공급 확대로 이어지기까지 시차가 상존한 만큼 공급 쇼티지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 역시 단기에 꺼지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물가 상승요인과 관련, 기존 재정 부양책을 통한 수요가 보전된 가운데 예상보다 빠른 백신 보급이 수요 회복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신흥국의 생산 차질과 기업의 보수적 생산 활동으로 공급 쇼티지가 발생하며 “Bottle Neck” 현상이 나타나 물가 급등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코로나 이후 재정과 통화 간 공조로 투입된 시중 유동성이 실물로 유입되기 시작한 점 역시 물가를 올렸다고 진단했다.
■ 물가 상승, 실물보다 금융시장 불편 요인
하 연구원은 물가 상승은 3가지 경로로 불편함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소비자 구매력 약화로 인한 수요 억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장기 시장금리 상승,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당국의 조기 정책 정상화 가능성 자극 등이다.
하 연구원은 그러나 "당장 물가 상승이 목도되더라도 수요 위축은 미미할 것"이라며 "1분기 가계 저축률은 20%로 2010~2019년 평균 7%를 큰 폭으로 상회한다"고 밝혔다.
정부 소득 보전 조치와 고용 및 사업소득 회복 등을 감안하면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훼손은 제한된다는 것이다.
국채10년 금리와 TIPS 금리 간 차이로 계산한 기대 인플레이션은 2% 중반이다.
그는 "물가가 상승하면 후행적으로 올라가는 경향이 있는 만큼 기대물가 상승에 따른 장기 시장금리 상승 압력이 목도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조치 정책 정상화 경계까지 부상한다. 작년 8월 연준은 AIT(평균인플레이션 목표)를 도입하며 일정 수준의 단기 물가 상승은 용인할 것을 예고했다"면서 "정책 당국자는 인플레 현상은 단기에 그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물가 안정이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의 물가 상승 인식 변화가 제한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미시건 서베이에 따르면 1년 기대 물가는 3% 중반까지 올랐으나 5년 기대 물가는 2% 중후반에서 유지되고 있다.
하 연구원은 "연준의 정책 기조 변화가 금년도에 나타날 가능성은 제한되지만, 단기 물가 상승 기대가 장기로도 이전될 경우 조기 정책 정상화에 대한 불안감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펀더멘탈 훼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금융시장의 추세 변화 요인은 아니다"라며 "그럼에도 유동성이 축소될 수 있다는 경계감은 금융시장에 변동성을 확대시키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공급 정상화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 불안감은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