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금년 국채금리 상승의 배경에는 펀더멘털 개선 및 테이퍼링 전망 등의 영향이 컸지만 중장기물 순공급 증가로 인한 부담도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센터는 최근 경기 개선에도 불구하고 미 국채금리 추가 상승이 제한(staying sticky)되고 있는 원인 중 하나로 국채 공급은 감소가 예상 되는데 비해 국채 수요는 증가하고 있는 점이 지목되고 있다고 풀이했다.
미 국채 수요는 ▲ 과잉저축(Savings Glut, MMF 등 단기물 수요↑) ▲연기금 적립률 상승(장기물 수요↑) ▲시장에 충분히 반영된 매도압력(Bearish view)의 되돌림 ▲미 금융회사들의 국채 헤지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인해 견조한 것으로 추정했다.
또 미국 연기금 적립률(funded ratio: 작년 1분기 80%→21년 1월말 90%→4월말 98.3%)이 급등함에 따라 연기금 내 투자위험 관리 및 포트폴리오 안정화를 위해 채권 비중이 확대할 유인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센터의 주혜원·김윤경 연구원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및 경기회복이 진행됨에 따라 정부 지출이 감소할 전망이며, 인프라 법안의 재정적자 확대 효과 역시 수년에 걸쳐 분산될 것임을 고려하면 국채 공급 부담이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이는 빠르면 금년말, 늦어도 내년부터는 미 재무부의 국채 공급이 점차 감소하기 시작할 것임을 시사한다"면서 "입찰 부진 등의 사태로 인한 금리 상승 초래 가능성이 낮아질 것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미국채의 순발행 규모는 작년 사상 최대인 4.3조 달러(단기 T-bill 2.5조 달러)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 들어서는 중장기 국채 순발행이 늘고 있다.
중장기 국채, 즉 노트나 본드의 순발행은 작년 1~4월에는 0.3조 달러였으나 금년 1~4월에는 0.9조 달러로 증가했다. 순발행에 연준 매입분을 반영한 순공급은 -0.2조 달러에서 0.6조 달러로 증가했다.
연구원들은 "올해 1.9조 달러의 추가부양책 및 인프라 재건정책 재원확충 필요성 등에도 불구하고 TGA(연준예치금) 감축 및 22년 재정적자 적자 감소 전망 등으로 7월까지는 단기물 위주의 공급 축소, 연말 또는 내년초부터는 중장기물 중심의 축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부분의 IB들은 재무부가 5월 리펀딩 미팅에서 명목 중장기 국채 입찰규모를 유지한다고 발표한 이후 금년 중에는 공급 감소가 없을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했다. 다만 일부 IB는 연내 공급감소(8월 또는 11월 돌입)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