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중국이 소비 부진과 구조조정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로 급격한 정책 기조 전환 가능성은 낮으나 경기부양 축소 등 정상화 과정에서 경제심리가 위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중국 경제가 V자 반등한 데 이어 올해에도 회복세가 뚜렷함에 따라 경제정책이 긴축 기조로 전환될 것이라는 견해가 대두된 상황이다.
올해 1~2월 수출이 자동차·의료품 등을 중심으로 60.6%(예상치 40%) 급증하고 생산, 소비, 투자도 글로벌 수요회복과 기저효과로 30% 이상 증가했다.
김기봉·이치훈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확장적 재정정책과 신중한 통화정책 기조를 견지하겠으나 작년에 비해 경기 부양 규모가 줄어들고 산업·부문간 선별적 지원과 차별화 노력은 강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재정정책 측면에선 GDP 대비 재정적자 목표를 2020년 3.6% 이상에서 2021년 3.2%로 하향 조정하는 등 재정건전성 제고와 함께 중소기업 대상 선별적 지원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화정책 차원에선 금리 동결 등 신중한 기조 속에 유연한 정책이 예상되나, 연초 대출 급증 등에 따른 부채리스크에 대응해 신용억제를 통한 완만한 긴축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또 제조업 기술혁신, 내수 증대 및 분배개선, 한계 국유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함으로써 질적 성장을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