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금센터는 "연준의 모호한 태도 이면엔 경기회복세 강화에 따른 정책조정과 가파른 금리 상승을 억제할 필요성 사이에서 고민이 커지고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2월 중순 이후 미국 장기금리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지면서 시장의 우려가 커진 가운데 금리 상승에 대한 연준의 인식과 대응 여부에 관심이 모아져 있다.
센터의 권도현·김윤경 연구원은 "시장은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나쁜' 금리상승을 초래한다고 보는 반면 연준은 금리상승이 펀더멘털을 반영하며 금융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임을 강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구원들은 "그동안 시장금리는 경기회복 기대를 반영해 상승했으나 최근 가파른 상승은 국채 수급 부담과 인플레 우려 속에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확대된 데 기인한다"면서 "저금리 유지와 QE지속에 관한 연준의 가이던스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내년 말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은 확률로 반영하면서 연준과의 괴리가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반면 연준은 경기회복 모멘텀과 금융여건이 유지되는 한 장기금리 상승에 개입할 필요와 명분이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들은 "금리 상승세가 과도할 경우 경제적 이유(부양기조 강화 등)보다는 시장 기능(국채시장의 원활한 작동 등) 관점에서 추가 대책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