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연구원은 "3월 FOMC에서 명시적인 대응이 가시화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만약 국채 수급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연준이 대응에 나선다 해도, 2011~12년 방식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가 재현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연준은 2011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15개월에 걸쳐 6,670억 달러 규모의 3년 이하 단기채를 매각하고, 이를 6~30년 만기의 장기채 매입에 사용했다. 장기채 매입규모의 확대는 장기금리 하락으로 이어졌고 특히 실질금리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이 연구원은 "미국 OT 당시 10년물 TIPS 금리는 OT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시점까지 70bp, 기간 중에는 최대 88bp 하락하며 경기부양 효과를 유발했다"고 상기했다.
그는 "이렇게 해야 했던 이유는, 당시 유로존 재정위기와 미국 연방채무 과잉 우려(2011년 8월 S&P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로 재정정책을 긴축적으로 운영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라며 "이 때 미국은 재정지출 증가율이 계속 둔화되면서 재정적자가 줄고 있었고, 2012년 초까지는 위기의 단초를 제공했던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졌다"고 밝혔다.
그는 "부양은 전적으로 통화정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은 이 당시와 환경이 크게 다르다"면서 "전례 없이 과감한 재정정책이 오히려 국채 수급부담을 키우면서 장기금리가 오르고 있고, 경기하강이 지속되던 당시와 달리 COVID-19의 충격으로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대응이 가시화된다 하더라도 몇 주 혹은 몇 개월간의 한시적인 조치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의 명시적 대응, 즉 장기물 편입비중 확대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를 시행해야 할 필요성은 낮지만 시장의 불필요한 오해(?)와 변동성을 차단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이용할 가능성은 높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연준이 '경기회복 기대를 반영하여 장기금리가 오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최근과 같이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는 부분은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다. 그리고 만약 금리급등이 금융여건의 악화로 연결될 위험이 커진다면 언제든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는 식의 커뮤니케이션을 구사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