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연구원은 "연초 이후 경기회복 기대감에 따른 독일 금리 상승은 상당 부분 실현됐다"면서 이같이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독일10년 금리가 -0.2% 수준을 상향 돌파하기 위해서는 코로나19 이전 수준 이상의 경기회복세가 확인될 필요가 있다"면서 "3월 중 독일의 추경 편성 등 추가 재정정책 모멘텀이 예상되나, 주변국을 포함한 유로존 전체의 본격적인 경기 회복은 백신 보급이 완료되고 EU 경제회복기금이 집행될 하반기에 부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반기 중 독일 금리는 박스권 흐름이 예상되며, 하반기 이후 금리 상승세가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EMU 스프레드는 ECB의 PEPP 확대에 따라 축소 후 안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ECB는 11일 기준금리 및 PEPP 규모(1.85조유로)를 동결했으나 금융 여건과 물가 전망을 감안해 2분기까지 PEPP 매입 규모를 상당히(significantly) 늘리기로 결정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상당히’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는 규모를 정해두지 않았으며, ‘적절한(favorable) 금융 여건’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박 연구원은 "금번 회의 이후 독일 금리는 보합세 유지하고 EMU 스프레드는 축소됐다"면서 "결과적으로 ECB는 최소한의 조치로 시장 안정화에 성공한 셈"이라고 평가했다.
ECB는 2021년 성장률 및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각각 3.9%→4%, 1.0%→1.5%로 상향 조정했다. 유로존 경기는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되면서 민간소비 반등이 지연되고 있으나, 2분기 이후 소비 증가가 경기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더해 하반기부터는 EU 경제회복기금이 집행되기 시작하며 경기회복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다만 "ECB는 시장금리 상승세를 방관할 경우 조기 긴축(premature tightening)에 대한 우려가 경기 회복을 제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그러나 "기술적/일시적 요인을 제외하면 ECB 물가 상승 압력은 여전히 저조한 수준"이라며 "ECB는 임금 상승률 정체와 유로화 강세가 물가에 하방 위험으로 남아있으며, 전망치 상향조정에도 불구하고 물가상승률은 2023년까지 목표 수준에 도달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처럼 ECB는 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를 공히 상향 조정하면서도 이로 인한 금리 상승을 경계하며 조기 긴축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