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2019년 1인당 평균진료비는 연간 491만원으로 전체 인구 1인당 평균진료비인 168만원보다 2.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이 보장하는 원평균 급여 의료비도 높았다. 중년기 대비 노년기에는 월평균 급여 의료비가 약 3배 수준이었으며 보혐료 대비 높은 급여비율인 약 7배가 나타났다.
노인빈곤율도 높았다. 2018년 OECD 주요 국가 평균 노인빈곤율은 14.8%로 나타난 반면 우리나라는 43.8%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생명보험사에서는 노후 의료비 대비를 위한 다양한 보장성 보험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를 위해 고지항목을 최소화해 간편 가입심사를 적용했다.
ABL생명 '(무)ABL간편가입건강보험(갱신형)'은 고령자, 유병자도 간편심사(고지항목1개)를 통해 가입가능한 암·뇌혈관·심장질환 보장보험이다.
고혈압, 당뇨 등 고령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해서도 주계약 또는 특약으로 보장하고 있다.
삼성생명 '삼성간편종합보장보험1.0'은 재해로 인한 사망보장 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도 보장한다.
시니어 전용보장 상품도 있다. 치매 뿐 아니라 고령층에서 나타나는 루게릭병, 파킨슨병 등 시니어 질병에 대해 주계약과 특약을 통해 종합적으로 보장한다.
질병 또는 질환시 진단자금과 치매, 중증질환에 의한 간병자금을 지원하고 월 일정금액 생활자금을 지급하는 상품도 있다.
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생명 치매보험든든한 노후'는 '중증 치매 생활비보장 특약' 활용시 중증 치매에 걸렸을 경우 만기와 상관없이 생존기간 매월 최대 100만원 생활자금을 지급한다. '장기간병유발특정질병 수술·입원 특약' 활용시 뇌출혈, 류머티즘관절염 등 장기적으로 간병이 필요한 질병에 대해 수술비와 입원비도 보장해준다.
생명보험협회는 "의료비로 인한 노후 빈곤을 방지하고 늘어난 기대여명만큼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위해 청장년기부터 보장성 보험으로 노후 의료비를 대비해야한다"고 밝혔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